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정예 농어업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 세계와 경쟁하는

2013.01.30 52404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수탁보고서(C2013-01)
  • 저자
    마상진, 오내원; 김경덕; 남기천
  • 등록일
    2013.01.30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인력 육성 정책의 변천과 현황
제3장 농업인력 육성 정책 평가
제4장 농업인력 수급 전망
제5장 정예 농업인력 육성 중장기 로드맵

요약문

한·칠레 FTA를 전후하여 제시된 정예농업인력육성 종합대책(2004~2013)이 추진된 이후, 국가적 차원의 농업인력육성과 농업교육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 된지, 10년이 되어 간다. 최근에는 한·미 FTA 등 변화된 여건 하에서, 지금까지 추진되었던 농업인력육성정책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인력육성 분야에 대한 투자계획으로서 ‘신규 전문농어업경영인 육성방안(2012~2017년)’과 ‘농업교육 기본계획(2011~2013년)’ 등이 제시되었다. 이처럼 농업 인력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과 틀이 서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농업교육체계 개편 계획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교육 성과 점검과 향후 농어촌 교육 로드맵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농업교육을 중심으로 그동안 추진되었던 농업인력육성정책을 진단하고, 최근의 농업환경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인력육성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oad maps for promoting advanced agricultural human resource through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agricultu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of the past, evaluated the recent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terms of input, output, and effect, prospected agricultural human resource demand and supply for the year of 2022.
Based on the examination, evaluation, and outlook, as well as review of domestic best practice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in advanced agricultural country and non-agricultural fields, some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on how to improve agr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imed at developing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The objective for promoting advanced agricultural human resource is ① three percent growth rate per year of agricultural labor productivity, ② local agriculture and rural area revitalization, and ③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by sustainable agricultural business unit.
For the objectiv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hould be competency-based, local-based, commodity-based, agri-food complex-based, and life-long learning-based. Under the direction, this study suggested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projects under five categories including ① potential agricultural human resource promotion, ② agricultural highschool and college education reinforcement, ③ farmer education &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④ agricultural learning organization and corporate body invigoration, ⑤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compensation.

Researchers: Ma Sang-Jin, Oh Nae-Won, Kim Kyeong-Duk, Nam Ki-Cheon
Research period: 2012. 5. - 2013. 1.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마상진Ma, Sa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마상진Ma, Sa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52404
  • 다운로드
    3
다음글
독일 농업경영체 등록제 운용시스템과 시사점
이전글
한국의 주류제도와 전통주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