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사업의 평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경북 예천군 회룡포권역
제3장 경남 밀양시 평리체험마을
제4장 경북 영주시 고구마가공사업
제5장 경남 의령군 망개떡명품화사업
제6장 경남 합천군 영전권역
제7장 경북 고령군 우리들엔영농조합법인
제8장 사례별 비교 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요약문
농촌지역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커뮤니티 비즈니스이다. 농촌지역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서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문제도 함께 해결해나가는 소규모 사업체로 정의되는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농촌지역에서는 이미 다양한 형태의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조직들이 자생적으로 생겨나 운영되어오고 있다.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농촌사회의 현실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생성된 실용적 개념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개념 위주의 연구보다는 사례분석을 통한 연구가 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들을 대상으로 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특성을 살펴보고,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분석하며, 시사점을 도출해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향후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ommunity business can be a new growth engine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rural area in Korea. A variety of community business have already been formed and run in some rural areas before community business is widely discussed with policy interest. Since the concept of rural community business was built based on a practical viewpoint, a case study should be more useful for seeking practical ways to solve the rural problems than a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rural community business through analyzing several cases. It examines business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zing success factors and obstacles of the cases.
Six cases were selected among the villages or businesses in Kyungsang Province supported by the policy programs of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that is, Comprehensiv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Rural Community Industrialization Support Program, and Rural Community Enterprise Support Program.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r these six rural community businesses, and SETCB Model, which is Sustainable Experience Tourism Community Business Model was used for structural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six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airs in terms of their business structure.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posed regarding rural community business policy, through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ai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systemized organization for a community business is necessary to vitalize the depressed rural community, and it is suitable means considering the homogeneity and equal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y in Korea. Second, unique regional resources need to be fully utilized for community business to be successful. It is a strategy of differentia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Creative efforts and ideas are also needed. Third, rural community business can be a motive for the groundbreaking change to a region. Fourth, there exists an able and passionate leader in the story of successful rural community business. Fifth, although most of rural community business are not so profitable yet, its regional development effects are meaningful in other parts.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sidents involved in rural community business tend to neglect agriculture which is the root of rural community business, paying too much attention to manufacturing business or service business.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boost rural residents’ recognition that agriculture and rural area have inestimable value. Second,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etitiveness of a region is regionality itself, to be more specific it is the region’s resource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need to help the rural residents dig out the region’s competitive resources and develop them into rural community business items. Third, a measure need to be reviewed in case when participants detach themselves from the community business due to death or other reasons. This is important issue because rural community is highly aging society. Fourth, the stable link system is necessary that local farms supply raw agricultural products to community business so that local farms participate widely in the business. Local governments are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middle supporting organization in this issue. Fifth, measures need to be reviewed to cope with the deterioration of facilities and raise the common fund for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fee.
Researchers: Han-Sung Lee, Sang-Hak Lee, and Seung-Won Yoon
Research Period: 2012. 6. ~ 2012. 10.
E-mail Address: star@pusan.ac.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5126
-
좋아요1
-
다운로드38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협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 이전글
- 농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농업과 외식산업의 연계 방안 세미나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