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협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커뮤니티 비즈니스 선도농협 사례
제3장 농협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요약문
농촌지역은 고령화와 과소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협동조합의 역할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CB의 수행 주체로 협동조합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분석과 중간지원조직으로 협동조합의 역할 가능성을 검토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지역농협의 CB 사례조사 결과 농협이 독자 사업조직을 구축하여 실천하는 수준에는 아직 미흡하다. 사업 유형으로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사업과 취약계층 복지사업 및 농산물 생산·유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농협의 CB 영역은 농식품의 가공, 지역관광 사업, 마을단위공동경영조직의 육성, 지역특산품의 생산, 문화관련 사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에서는 CB 주체들의 공간적 분산성과 농산물의 생산과 가공, 농촌사회의 다양한 사회서비스 등 특수성이 있으므로 시·군 단위 중심의 중간지원조직을 설정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의 새로운 역할과 CB의 주체 및 CB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In the rural regions whose residents are getting older and whose population is becoming smaller fast, the role and the demand of cooperative associations is getting greater for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nd the maintenance of local community. So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policy consent by analyzing the role and the capacity of cooperative as a main subject to execute CB and as a middle supporting organization for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activities of local cooperatives in relation with the community busines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es already and to provide local governments or rural community business operators with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the collaborative relation with local cooperatives, exploring their role as a middle support organization.
As a result of case study on the community business of local cooperatives, it turned out that the level of their community business upbringing was still immature, especially in constructing and executing the independent business organizations. Their business types were mainly confined to 'the job creation for weak classes', 'the welfare for weak classes' and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community business range is necessary to expand diversely to the processing of local products, the local tourism,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of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in each village, the production of special local products and the cultural projects as well as present works.
In order for the local cooperatives to take the role as a middle supporting organization for all the agricultural community businesse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distribute diverse organizations and tasks into city/county cooperatives. That is, it seems better for the agricultrual policy support team of NH in city/county units to participate in the associated activities and establish the CB support plan in the dimension of city/county for the decision of NH supporting fields.
And the priority tasks of NH in the rural regions to activate the community businesses are ① Joint investment of residents, interested parties and local governance in the project, ② Construction of organic collaborative relation among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local organizations, ③ Separate incorporation of community companies.
Researchers: Gee-Tae Kim
E-mail address: ccicoops@naver.com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6985
-
좋아요1
-
다운로드8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FTA 시대 지역농업 활성화 과제와 전망 : 국제심포지엄(2012. 2. 16)
- 이전글
- 농촌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사업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