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저탄소농업 직접지불제도 도입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부문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현황
제3장 저탄소농업 직접지불제 도입 검토
제4장 주요국의 저탄소농업 직불제 사례
제5장 농업부문의 저탄소 직불제 추진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세계는 국제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을 현실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BAU) 30%를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2011월 7월에 발표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농림어업 부문의 감축목표는 5.2%로 할당되었다.
농림수산식품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감축잠재력이 높은 저탄소농업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고, 둘째로 개발된 저탄소농업 기술이 실제로 농가단위에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농가들이 저탄소농업기술을 적용할 때 초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노동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술적용이 용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천농가에 대한 적절한 인센티브 제공 등 정책적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 보고서는 「저탄소 농업 직접지불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정책과제의 최종결과물이다. 주요 저탄소 농업 기술 적용의 경제성 평가를 바탕으로 적정수준의 지급단가·한도·기한 등을 산정하였으며, 농가의 저탄소 직불제 프로그램 참여 의향을 분석하였으며, 주요국의 저탄소 직불제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농업인들의 여건에 따라 실천 가능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방식의 저탄소농업 직불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저탄소농업 직불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사후관리를 위한 이행점검과 중앙정부, 시·군 정책담당자, 농업인, 유관기관 등 관련주체의 적절한 역할 분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etailed measures to implement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low-carbon agriculture which was developed to proactively cope with climate change. The detailed research goals include development of direct payments based on farming methods, calculation of adequate base payment, payment limits, and duration, a review of direct payment programs for low-carbon agriculture in advanced countries, and an analysis of farmers'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the direct payment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farmers who have introduced low-carbon farming techniques an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m have introduced the farming techniques through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s (58.7%) out of concern for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49.7%).
The types of low-carbon farming techniques that are currently applied are found to be classifiable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reen manure crops (25.4%), tailored fertilizers (17.6%),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16.7%), plowless farming (7.1%), and intermittent irrigation (5.5%). As for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techniques, farmers have referred to decrease in yield (25.7%), lack of price differentiation due to low awareness of low-carbon agricultural products (24.6%), and increase in labor input (21.7%).
The most predominant opinion concerning how to propagate low-carbon farming techniques wa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centives such as direct payments (42.0%). Farmers also said that they most prefer (40.2%) direct payments commensurate with low-carbon farming techniques and that they will adopt (78.3%) new low-carbon farming techniques that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major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ing techniques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t profit decreased for paddy field water management, plowless farming (rice),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and use of tailored fertilizers. By contrast, the net profit increased for alternative energy, highly efficient technology farming, and plowless farming (chili).
The direct payment for low-carbon farming, which is a mutual compliance-based environmental program that combines agricultural policy with climate polic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a green gas reduction policy in the agricultural sector. Since there are many kinds of green technologies that can be applied to low-carbon agriculture, the direct payment for low-carbon agriculture was presented based on farming methods so that farmers can choose the right method to meet their need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The base amount of direct payment for low-carbon farming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the compensation for income reduction and the incentive grant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it varies as follows: 500,000~700,000 won per installment of irrigation equipment for intermittent irrigation (M1), 480,000~580,000 won per hectare for plowless farming (M2), 700,000~ 900,000 won per hectare for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M3), 300,000~500,000 won per installment of "eco-driving system" for efficient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M4), 900,000~1,000,000 won per hectare for use of tailored fertilizers (M5), and 300,000~600,000 won per hectare for continuous application of organic farming.
The direct payment for low-carbon agriculture is a new direct payment which has been added to the current program for direct payments in agriculture (i.e., the direct payments for business transfers, environment protection, unfavorable farming regions, and landscape conservation). The ratio of farmers who are willing to take part in the new program is shown to be about 75%,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will be high if the base amount of the direct payment is set at an appropriate level and when the policy is promoted properly.
In order to successfully adopt the direct payment for low-carbon agriculture, it is crucial to have a proper division of roles among related entities that include policy administrators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arm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s, the Foundation for Agri-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etc.) in addition to the implementation inspection for post-management.
Researchers: Chang-Gil Kim, Hak-Kyun Jeong, Jeong-Seung Kim, Dong-Hyun Moon
Research period: 2012. 7. - 2013. 1.
E-mail address: changg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0659
-
좋아요0
-
다운로드6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수원시 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연구 용역
- 이전글
- 독일 농업경영체 등록제 운용시스템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