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 적정 수요예측 및 규모화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임산물 생산 및 소비
제3장 임산물 산지유통센터 적정규모 예측
제4장 임산물 산지유통센터 경영활성화 및 산업화 방안
부록 지역 통합 거점 유통센터 운영 우수사례
요약문
이 연구는 임산물의 유통구모 및 수요를 예측하여 임산물산지종합유통센터의 적정규모 및 수요량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설확충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경영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체계적인 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임산물 생산 및 소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임산물 수요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산물 산지유통센터의 적정규모 예측과 경영활성화 및 산업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 forest service(KFS) supports to build a Forest Product Center(FPC) from 2004, and the number of FPC running or prepare for running in 2012 is 72. KFS is planning to extend the number of FPC and to increase support money from 201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a proper size and the required number of FPC to attain the object of the business. It is also supposed to suggest some management measures to revitalize FPCs. This study contains the results of consumers survey and the outlook of several important non-timber products.
In this study FPCs are divided by the handling products, and analyzed by the management outcomes. The FPC which shows the best outcomes will be the standard for the proper size of FPCs, which deals similar products. The capacity of the standard facility for each product will be the basis to estimate the number of FPCs demanded nationwide. The size of refrigerator, sorting area, and processing area for chestnuts, persimmons and jujubes are 400㎡, 330㎡, and 165㎡,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acility can handle 600 tons for chestnuts, 520 tons for persimmons, and 370 tons for jujubes. The standard size of refrigerator of the FPC handling wood mushrooms(Shitake) is 330㎡, and this can process 400 tons of mushroom per year. For the dry mushroom the refrigerator size is 495㎡ and the process capacity is 35 tons. For wild greens refrigerator is 992㎡, and sorting area is 397㎡. Its dealing capacity is 280 tons. To handle 20% of total product the number of FPCs demanded is 15 for chestnut, 8 for wood mushroom, 5 for dry wood mushroom, 40 for persimmon, 5 for jujube, and 28 for wild greens.
To revitalize FPCs it is the most import job to make a group of integrated members. Many producers will provide enough products that can run the facilities year around. Well organized groups with confidence and trust will have no problem to gather products. This will solve financial problem of buying raw materials. FPCs should be managed by specialists. For stimulating FPCs to make integrated groups the government policies on forest product management need to center on FPCs. The regulation to deal only forest products needs to be removed to increase running efficiency of facilities. Since many forest products are harvested during a short period of a year, a quite big fund is needed to buy the products.
It is also need to make stronghold FPCs to increase competitiveness. Neighboring main product areas are grouped together, and the FPCs in these area with the same handling product make a stronghold FPC to strengthen the marketing competitiveness and to increase efficiency of facility utilization. There are two groups of areas for chestnut. One located in Chungcheongnamdo groups 5 FPCs, and is able to handle 3 thousand tons of chestnuts. The other one locates in lower part of peninsula, and it will also group 5 FPCs with 3,000-ton handling capacity. Wood mushroom makes only one stronghold FPC, while persimmon and wild greens make 4 and 5 stronghold FPCs, respectively. There are some cities which can be candidates for different stronghold FPCs. The best cities for three different areas will have mixed-stronghold FPCs at each place. Buyeo may have a mixed-stronghold FPC, which will handle chestnuts, wood mushrooms, and wild greens. This facility will group 14 single FPCs, and its dealing capacity is about 5,880 tons. The other two cities are Hadong and Hwasun. Mixed-stronghold FPC in Hadong will deal chestnuts and persimmons, and it will group 13 FPCs. The one in Hwasun will process persimmons and wild greens, and combine 11 FPCs. The final number of FPCs to be built is 62. There will be 54 new FPCs, 5 new stronghold FPCs, and 3 new mixed-stronghold FPC.
Researchers: Lee, Sang-Min, Song, Seong-Hwan, Bark, Ji-Eun and Kim, Young-Bae
Research period: 2012. 6. - 2012. 11.
E-mail address: sm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9600
-
좋아요2
-
다운로드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주요 단기임산물의 자연재해 복구비용 산정을 위한 조사기법 연구
- 이전글
- 산림작물 생산단지 조성사업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