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여건 및 전망
제3장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제4장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의 기본목표와 방향
제5장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 방안
제6장 산림 탄소 상쇄제도 마련
제7장 연구·개발 확대
제8장 탄소흡수원 유지·증진 정책의 교육·홍보 및 재원조달 등 이행체계 구축
제9장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 정책의 효과 분석
제10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보고서는 산림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 먼저,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흡수원 증진 정책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산림을 이용한 탄소흡수원 유지·증대를 위한 핵심 전략 및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때, 국내 사업 뿐 아니라 앞으로 잠재가능성이 높은 해외 조림 및 REDD+ 사업의 타당성 및 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산림 탄소상쇄제도 도입 및 활성화 방안과 기반 구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Due to morden industrialization, the use of fossil fuel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by, climate change began to be sev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In respons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UNFCCC) was adopted in 1992 and full-scale efforts to reduce greenhouse-gas emissions began. UNFCCC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rests as a unique source of carbon sink in the Kyoto Protocol in 1997, adopting the process of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at the third conference of the parties. Forests can absorb greenhouse gases additional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carbon offset projects, which are less constrained than projects in other industries. Also, there is a little variation for the future uncertainty, while securing a certain amount of absorption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forest carbon sinks through afforestation and forest management can improve ecosystem conservation, water resource enhancement, clean air, and soil erosion prevention, which can provide a variety of public interests.
Maintaining and increasing the retention of forest carbon sinks can b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afforestation/reforestation and improved forest management can expand carbon sinks. Second, expanding the use of wood products as raw materials can increase carbon sequestration. Third, expanding the use of forest biomass energy through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can reduce carbon emissions. Fourth, preventing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from forest fire and pest disasters can maintain the retention of carbon sinks. Finally, afforestation/reforestation and REDD + projects allow to obtain carbon credits abroad.
As a preliminary research on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carbon sinks, we suggest specific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or these five measure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by expert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priorities of those strategies and plans. As results, among five strategies, the expansion of domestic forest carbon sink i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expanding the use of woody biomass energy, expanding the use of wood products, preventing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nd obtaining carbon credits through afforestation/reforestation and REDD+ projects abroad in order.
Domestic forests as a carbon sink have greatly increased the capability of absorbing carbon dioxide over the next five years by implementing ke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forest carbon sinks can reduce 880,000 tCO2, that is about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110,000 cars a year. The expansion of forest biomass energy use over the next five years can replace 650,000 toe (crude oil) that is the amount of $4.7 billion. In addi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domestic use of harvested wood products like lumber over the next five years, 3.2 million tons of carbon dioxid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o ways to increase the domestic forest carbon sinks,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infrastructure of forest carbon offset programs for action. Domestic forest carbon offset schemes need to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in the beginning. Also, R&D has a critical role in forest carbon sink enhancement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forest carbon sink by developing new seeds, highly-efficient forest bioenergy sources, technology of saving byproduct-gathering costs.
Researchers: Kyung-Taek Min, Yo-Han Lee, Hyun-Deok Seok, Ja-Choon Koo,
Myeong-Eun Kim, So-Hee Park
Research Period: 2013. 8 ~ 2013. 12
E-mail address: minkt@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4047
-
좋아요1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산림 인접지역의 효과적 산불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
안현진2024.12.30KREI 보고서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2022.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 용역
- 이전글
- 한권으로 보는 중국 농업 : 중국농업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