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위한 인삼산업 발전 전략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인삼 수급동향·경영실태 및 현안
제3장 인삼 가공·유통 실태와 현안
제4장 인삼 수출 및 개방화 현황과 현안
제5장 인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제6장 인삼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발전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인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특산품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로 수요가 증대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또한, 인삼은 고려삼에 대한 세계적인 인지도로 1억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수출효자 품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 재배적지의 부족 문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경영여건 악화, 시장개방화 가속화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하던 인삼산업이 위축되면서 향후 국내 원료삼 공급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인삼산업은 유통부문에서도 복잡한 유통구조와 가격 형성의 불공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수삼 및 인삼제품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본 연구는 인삼산업을 둘러싸고 급변하는 국내외적 환경하에서 국내 인삼산업의 실태와 현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함으로써 앞으로도 인삼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Research Background
Ginseng is highly recognized around the world as a specialty product in Korea. Korea has secured and kept its commanding position as the birthplace of ginseng because of the accumulated technology for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ginseng, superior efficacy of ginseng, and international credibility and reputation. Since the end of 2000, however, the environment of the domestic ginseng industry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terms of its deman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trade. Nevertheless, the ginseng industry in Korea has not dealt with the changes effectively. In particular, as newly cultivated areas have declined since 2009,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collapse of infrastructure of domestic ginseng industry.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ginseng industry should be analyzed in depth, and at the same time, the improvement issues should be addressed to prepare fo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industry.
Research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and the basic statistical data regarding the ginseng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he administrative data of local government and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local governments of main producing places, and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ymposiums with experts in ginseng were hosted to determine the research contents and direction. A total of 490 farmer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ir current management conditions and difficulties. an Moreover, online survey of 1,000 consumers nationwide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ir purchasing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ginseng industry and produc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he ginseng industry, the officials were interviewed through business trips to domestic areas. Field trips to China and Hongkong were carried out in preparation for the FTA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export markets.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e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in each sector of the ginseng industry were drawn from the surveys and analysis of domestic ginseng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were suggest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ginseng industry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including cultivation/production, management, distribution of fresh ginseng and products, and export.
With regard to the cultivation/production area,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shortening the dormancy period of the existing farmland and for securing first planted fields. In order to shorten the dormancy period of the existing farmland, the ac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eeded, such as the use of soil sterilization and soil fumigants. The first planted fields should be secured by developing hills and marginal farms of main producing places. In order to secure professional workforce constantly, the personalized support for new participants and farming successors is requir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ginseng farmers, the rationalization of purchase price of ginseng is needed. For example, for the products cultivated under the non-contract cultivation, the fair and transparent pricing system which reflects the supply and demand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for cultivating ginseng, the labor-intensive cultivation process should be replaced with mechanization process to increase productivity.
For the improvement of fresh ginseng distribution, it is required not only to secure the transparency, fairness, and openness of information for the fresh ginseng trade, but also to introduce and operate diverse transaction systems. The efficiency of price formation and product distribution should also be enhanced.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ginseng product distribution, it is required to open the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ndardization of products and to establish the systems for the safety assurance and certification. At the same time, small and medium processing companies and 12 ginseng cooperatives should be organized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first.
For the export and in preparation for liberalization of ginseng, first of all, the representative brands for export by the producer organizations, based on young ginseng, should be intensively developed and the differentiate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In addition, the role of the government should be strengthened to develop and expand the export markets for ginseng. It is also required to use the ongoing FTA between Korea and China strategically and to reach the reasonable conclusion.
Researchers: Chang-Gon Jeon
E-mail address: cgjeo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3131
-
좋아요0
-
다운로드99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경쟁력 제고와 소비기반 구축을 위한 녹차산업 발전 전략
- 이전글
- 소비안정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화훼산업 발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