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과 발전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분야 협동조합의 설립과 주요 논점
제3장 농업인의 새로운 협동조합 설립의향
제4장 농업분야 새로운 협동조합의 사례
제5장 농업분야 새로운 협동조합의 역할과 발전과제
요약문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후 1년이 흘렀다.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일반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협동조합 등 약 3,000여 개의 협동조합이 설립 신고를 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운 협동조합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나 기대가 커지면서 새로운 협동조합의 설립건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역농협이나 영농조합법인 등이 이미 활동하고 있는 농업분야에서는 새로운 협동조합과 기존의 협동조합 간의 과도한 경쟁이나 갈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초창기이기 때문에 농업인들이 새로운 협동조합에 대해 정책지원을 받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특히 농축산물 유통이나 판매 분야에서 새로운 협동조합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분야에서 새롭게 설립되고 있는 협동조합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이들 협동조합이 지역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새로운 협동조합의 자생력 강화 측면에서, 지역농정과의 연계측면에서, 기존 협동조합과의 협력관계 형성측면에서 새로운 협동조합의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roles of emerging cooperatives in the agriculture sector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new cooperatives for the purpose of vitalizing regional agriculture. Since the new cooperatives law which allows any organization with at least 5 members to establish cooperatives was introduced in December 2012, many new cooperatives have emerged in the various industrial sectors including the agricultural sect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roles of emerg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for revitalizing regional agriculture an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xisting and emerg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rural governments.
Method of Research
A mail surve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farmers’ intention of establish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For the mail survey, 1,500 farmers were selected and 559 responded. Also,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urpose and motive for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the case study, 20 new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4 local governments were interviewed as well as exist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rural area. I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ase study that what the new cooperatives are doing within the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policies and how existing cooperatives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ding to emerging new cooperativ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mail survey, farmers tend to rely on exist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when they especially sale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ey are appeared not to be satisfied with the role of exist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joint use of farming facilities such as farming machines. Majority of farmers seem to have intention to build up cooperatives, which is not specific but very simple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3 types of new agricultural cooperatives are identified. In the case of type A, new members who do not take part in other similar organization establish cooperatives in order to set up new business such as marketing or direct sales. In the case of type B, familiar memb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same organization establish cooperatives in order to set up new business. In the case of type D, intimate memb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same organization establish new cooperatives in order to extend current business. In the case of cooperatives setting up new business, they seem to be challenged from other competitors in the same market.
Newly emerg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need to play key roles in solving current problems concerning the regional agriculture such as deficiency in farm hands, difficulties of farm products marketing, and increasing burden of farming costs. They also need to play role as a cooperative partnership and joint working with exist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local government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new cooperatives, they should put, first of all, self-help efforts into setting comprehensive and specific business plan by different types of cooperatives, building trust among members, and targeting a niche market to survive. Second, local governments need to support new cooperatives by educating, consulting, incubating them in accordance with regional agricultural policies such as local food policy. Third, it needs to formulate models of successful cooperatives which are co-working with existing cooperatives such as cooperative production organizations and village-based business organizations.
Researchers: Jong-Sun Kim, Jeong-Ho Kim, Moon-Ho Park,
Chang-Ho Kim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2
E-mail address: sun589@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8931
-
좋아요0
-
다운로드17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축산업의 외부효과와 정책방안
- 이전글
-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 구축 연구(1/2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