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지전용의 원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지전용 관련 제도
제3장 농지전용 실적과 전망
제4장 농지전용의 원인
제5장 농지전용의 영향
제6장 요약 및 정책제안
요약문
농지전용이란 농지를 도시용지·산업용지 등 비농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농지를 전용하려면 「농지법」에 따른 농지전용허가 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 한다. 3㏊ 이상의 개발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미만은 용도지역별 허용행위인 경우 어떤 지역에서나 필지별로 농지를 전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1975∼2011년에 35만 ㏊의 농지가 전용되었다. 이는 같은 기간 감소된 농지면적 54만 ㏊의 65%에 해당되는 면적이다.
농지전용에 대한 상반된 주장이 존재한다. 긍적적인 시각은 농지전용이 도시용지·산업용지의 조달을 위해서는 불가피하며, 농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농촌지역의 개발 및 활성화에 기여한다고 본다. 부정적인 견해는 농지전용이 반드시 불가피한 것은 아니며, 경지면적 감소와 농지 훼손은 물론 농촌지역 난개발과 투기적 농지소유를 야기한다고 본다. 농지전용의 원인과 영향에 관한 종합적·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농지전용 관련 제도의 변천과 현행 제도의 내용 및 문제점, 제3장에서는 농지전용 실적과 과제 및 전망, 제4장에서는 농지전용의 원인, 제5장에서는 농지전용의 영향, 제6장에서는 요약 및 정책제안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s at three goals. First, it examines if farmland conversion will lead to quantitative problem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goal, the results of farmland conversion in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analyzed. Then, the demand of farmland conversion in the future is forecasted through taking several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Second, this study reviews the five causes of farmland conversion including the demand-side factor, institutional factor, land price factor, location factor, and supply-side factor. Third, this study review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farmland conversion by understanding its influence on farmland, farmers, local areas, and farmland system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followed by the chapter two summarizing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farmland conversion-related system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system, and its problems. Chapter three reviews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farmland conversion and its prospects. Chapter four examines aforementioned five factors as the causes of farmland conversion. Chapter five explains the effects of farmland conversion on farm management scale, farmland price, farmhouse asset, local economy, and farmland system. Finally, chapter six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addressing the problems of the proposed elements in the causes and effects of farmland conversion. Their policy directions are also summarized.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rom 1975 to 2011, 542,000㏊a of farmland had decreased. Of those, 350,000㏊ decreased by farmland conversion. The annual average size of farmland conversion is estimated to decrease from 17,000㏊ (2007-2011) to 10,000㏊ in 2020. Nevertheless, it still accounts for a large amount, compared to the total farmland areas. The demand of non-farming lands such as urban land and industrial land is generally known to be the reason for the farmland conversion of large areas. In addition to this, however, other various factors also exist. Institutionally the farmland which is extremely less expensive than existing urban land can be converted into non-farmland in all areas. After farmland conversion, its land price surges by at least two to three times, consequently leading to high profit. On the other hand, the compensation for farmland preservation is very little. In some rare cases, proposed business is not allowed without the farmland conversion in certain areas. In addition, currently it is challenging to maintain the farming production due to the low income, the old age of farmers, and few farming successors.
The positive effects of farmland conversion may include nonfarm income, increasing assets, job creation, tax revenue, and increased population. However, such cases are rare. Rather, the farmland and the natural scenery close to the converted farmland are damaged or contaminated. Even farming work can be interrupted by the farmland conversion. Furthermore, as farmland prices increase due to the expectation of farmland conversion, the ownership of speculative farmland is expanded. Also, it becomes difficult for farmers to purchase farmland with farm income. Consequently, non-farmers’ ownership of farmland and farmland leases expa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y as follows: ①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restrictive construction and the planned development, ② distributing small-scale farmland conversion and prohibiting farmland conversion in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region, ③ reinforcing the redemption of development profit and the compensation for farmland preservation, ④ strengthening the screening of farmland conversion approval, and ⑤ promoting the integrated use of farml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Researchers: Seok-Doo Park, Gwang-Seok Chae
Research Period: 2013. 1~2013. 10
E-mail Address: sd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8728
-
좋아요0
-
다운로드8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북한의 농업부문 개혁조치 분석과 전망 (1996∼2012)
- 이전글
- 농업·농촌정책의 연속성 제고를 위한 농정 추진체계 정비의 방향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