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노인의 건강관리실태와 정책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노인의 건강관리 현황: 도농 간 비교 분석
제3장 농촌 허약노인의 건강관리실태 분석
제4장 농촌노인 건강증진 관련 정책 현황 및 문제점
제5장 농촌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노인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이 OECD 국가 중에서 1위이며, 치매 등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노인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해마다 늘어나는 노인의료비 지출과 장기요양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효성 있는 노인건강관리정책이 요구된다.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장기요양 이전 상태인 허약노인 대상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허약노인 대상 건강관리정책은 분절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보건과 복지서비스가 연계·통합될 때 효과성이 높아진다.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농촌지역에서 노인건강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며, 의료취약지역에 거주하는 허약노인의 건강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고, 농촌 허약노인에 초점을 맞춰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과제를 제시하고자 추진되었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and how they are caring for themselves for health promotion and suggest potential solutions for frail elderly people ba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health and welfare services. Health promotion for frail elderly people is to slow the pace of them falling into the state of requiring medical needs and long-term care servic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related services for the frail elderly people, the healthcare sector and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uild a cooperative system. In rural areas where aging has been more rapid, the importance of health-caring for the elderly is being magnified, and services for frail elderly people are urgently necessary.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survey, case study, focus group interview, secondary analysis of existing raw data, and researches commissioned. In order to identify the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raw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of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2010. Also, in a survey on the health status of rural frail elderly people, a target population of 628 persons were surveyed for 3 weeks from August of 2013.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better policies related with the rural elderly's health status, the health sector and social welfare sector need to be linked together with the aim of supporting their healthy life. Although the prevalence rate of disease of the form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the rural elderly was lower than that by the urban elderly. The rural elderly had to work for a living, although they felt burdened. Their prevalence rate of arthritis was higher due to farm working and the inconvenient housing environment. The elderly who could conduct the eight actions of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themselves amounted to 45.9 percent. The male aged had needs for indoor activities, while the female aged had needs for outdoor activities. Furthermore, many elderly people thought that not skipping meals and walking or taking moderate exercise were more helpful for maintaining health than working out or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Social services for the rural elderly have to be design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ir rural life, considering their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ir state of disease prevalence and health status, etc.
To develop health enhancement policy for the rural frail elderly people,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f Korea need to share the role. And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community in collabora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connecting the health sector and social welfare sector is also needed. For rural areas, the role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repositioned, and transportation service, public meals service, and bathing facilities need to be expanded. When administering inhome services to eliminate blind spots in elderly care, the local community's efforts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need to go side by side.
Researchers: Mihyoung Cho, Dae-Shik Park, Yong-Woog Choi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2
E-mail address: mihyo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325
-
좋아요0
-
다운로드116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영국의 임업과 지역 산림관리체계
- 이전글
- 주요 원예농산물 경영실태 분석 및 생산비 절감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