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지역 사회복지서비스의 수요와 전달체계 : 강원도 횡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횡성군의 사회복지 현황
제3장 연구 결과
제4장 논의 및 결론
요약문
급격한 농촌사회의 고령화는 농촌의 생산구조 및 기반을 축소시킴에 따라 농촌에서 불안정한 생활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방안으로 농촌지역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정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농촌지역의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와 복지서비스의 수요의 전달체계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복지의 서비스 활동이 마을 내 일자리 창출 및 마을공동체사업(Community Business)의 성장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Research Purpose
As the rapid aging weakens a foundation and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t has accelerated unstable life in the rural society. To solve this problem, it is expected that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will be increased. As a tailored welfare policy considering rural characteristics is needed, we try to understand the needs and delivery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 the rural area. Additionally, we identify the feasibility of the creation of employment for the elderly or community business from the social service.
Research Method
The survey as a quantitative method and the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as a qualitative method were chosen for this study. In details, 188 elderly rural residents responded to a field survey consisting of closed-ended question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pproximately 10% of respondent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For 11 social public officers and 7 private social workers, a field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ere also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followed the below process; ① obtaining all participants’ consent who take part in both interviews to record discussion, ② converting the recording into text transcripts, and ③ 3 researcher’s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with Atlas.ti 6.0 program.
Research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a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First, participants mainly desired to ① better access welfare services by transportation improvement, ② get support for farming activities as part of welfare services, ③ get health and medical services.
Second, on the 9 major principles of the delivery system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while most of the elderly responded positively, most social public officers did negatively. Additionally, most social public officers responded negatively to only questions for them on interaction with regular public officers, allocation of human resources, assignment of work, reflection of officers’ opinion,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erms of a question on cooperation and networking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provide integrated welfare service, while most social public officers responded negatively, all private social workers responded positively. However, some private social worker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pointed out the lack of cooperation with social public officers in terms of delivering and exchanging information related to welfare services.
Third, concerning the feasibility of the creation of employment for the old or community business from the social service, since most of respondents have engaged in farming in spite of an advanced age, it seems to be difficult to create jobs in the non-agriculture sector. However,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new jobs by approaches of development of welfare services founded on farming.
Since rural communities tend to avoid welfare services by an individual,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be offered to them by a group in a community. Particularly, a group voluntarily organized in the community will have chances to extend its business by undertaking welfare business besides its original work. For example, an ‘agricultural support group’ which is established by a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can farm for the elderly at cost. Groups like the ‘sisters’ garden plot’ or local food organization forming the certain business foundation can also expand vicarious farming or welfare service such as ‘Elderly care by Elderly’ project by the additional employment. Since these businesses have difficulty making profits, government’s support is needed to meet their profitability.
Researchers: Byoung-Oh Lee, Jong-San Choi, Young-Ran Yang, Jae-Hong Park, Xi-Jie Jin, Gou-dong Xu
E-mail address: bolee@kangwon.ac.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140
-
좋아요0
-
다운로드33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지역 공유자원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이전글
-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