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미국의 농업교육 변화 동향과 시사점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미국의 농업
제3장 미국의 농업교육
제4장 한국 농업교육에의 시사점
요약문
시장 개방과 더불어 기로에 선 우리 농업에 있어 농업교육은 가장 중요한 대응 전략의 하나이다. 한·칠레 FTA 이후 본격화된 농업교육에 대한 투자가 농업 현장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우리 연구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많은 농업교육 이수생들이 농업경영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신기술 습득 및 인적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농업경영비의 감소, 생산성 증대, 농업소득 증가와 같은 경제적 성과를 얻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주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서라도 농업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공공부문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리라 본다.
이런 최근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우리나라 농업교육이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은 상황이다. 거시적인 농업교육 장기투자 계획 등은 다른 농업 선진국만큼 잘 갖추어져 있지만, 아직까지 미시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농업과 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농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ome implication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education to Kor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s policy including the Farm Bill, and selected agricultural statistics of the U.S.; NIFA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e)'s policy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selected strategic plans of U.S. agricultural education non-government groups; and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school education and agricultural extension.
The U.S. has made a systemic and stable approach to agricultural education from the year of 1862 when USDA and the Morrill act was made. As public input for agriculture has been declining since 1980s, U.S. agricultural education has developed new strategies to cope with the changes including 1) dealing with broad educational contents rather than traditional agriculture, 2) focusing on transferable skills through working experiences, 3)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4) connecting with general education institutes and communities. These changing directions are common in Korea as well as most countries advanced in agriculture. However, how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have been made and how many stakeholders are sharing the vision are different among them.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needs more participation of various agricultural groups in policy and program making processes, which would make them more effective and endurable.
Researcher: Ma Sang-Jin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0.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9665
-
좋아요0
-
다운로드7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KREI Research Summaries 2013
- 이전글
- 우리나라 농업기계 공급실태와 적정농업기계 공급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