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업 육성을 위한 특화농공단지 제도개선 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공단지 정책의 변화 추이
제3장 특화농공단지 실태
제4장 농공단지 관련 정책수요 분석
제5장 노후 농공단지 개·보수 제도 개선
제6장 특화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요약문
농공단지 조성사업은 농어촌지역에 기업을 유치하여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농어가 소득 증대를 도모하면서 도·농 격차 심화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1983년부터 조성된 농공단지는 2013년 말 현재 444개에 달한다. 그동안 농공단지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지여건에서도 농어촌지역의 고용창출을 통해 농어가 소득증대에 기여하였으며, 다양한 제품의 생산 및 수출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민경제 발전에도 일익을 담당해 온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지금은 농공단지 사업이 추진될 당시와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농어촌인구의 급감과 고령화 심화로 농어가의 농외취업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각종 도로의 신설과 확·포장으로 물류 여건이 좋아졌지만, 다양한 산업단지가 전국적으로 조성되면서 농공단지의 여건은 상대적으로 더 열악해졌다.
현재 농공단지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조성된 지 30여 년이 경과하여 도로, 상·하수도, 오폐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이 노후화되고 단지가 협소하여 활력을 잃고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노후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최근 조성되고 있는 지역특화농공단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80s, Rural regions have faced a problem that have been relatively depressed than urban. For the income increase of resident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regions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urban-agricultural regions by creating the jobs in the rural areas, the project of rural-industrial park(RIP) that the industrial complexes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s has been promoted.
But RIP is presenting diverse problems under the rapid chang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We need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maintenance-repair of old rural-industrial park and the collaboration with local agri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olog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IP and activate the agriculture-rural in connection with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More concretely, ①the pla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IP, ②the plan to connect 6th industrial activation and RIP, ③the plan to activate the specialized RIP, and ④the plan to share the costs for constructing the entrance roads into the RIP.
As the main results of study, first the following efforts are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specialized RIP: ①A concrete road map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pecialized RIP after their construction, ②The construction of network is needed to use sufficiently abilities of the local governments, ③The operation of internal consultative organization is important to adjust the conflicts among interest groups, ④The administrative and managemental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 are necessary.
Secon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RIP and 6th industrialization, ①RIPs built in the future need to have the form of integrated or complicated theme-type complex rather than the production- oriented park to meet the customers’ preference and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ark, and ②in connection with the park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lan the intermediate supporting agency for operational consulting organization.
Finally, the activation of park should be promoted by removing the irrational elements in the present detailed supporting conditions for the complex support and diverse regula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the formation of large-scaled complexes through the cumulation of RIP as well as to newly enact the special provisions about the appointment of industry sites.
Researchers: Kyeong-Hwan Choi, Yong-Lyoul Kim, Joo-Nyung Heo and Tae-Nyoung Han
Research period: 2013. 8. - 2014. 2.
E-mail address: ky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6095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청송군 아버지교육 욕구 조사연구
- 이전글
- 농촌산업 통계·동향 분석을 통한 6차산업 발전전략 연구 : 요약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