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법인경영체 경영실태 분석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법인제도 및 정책의 추진 현황
제3장 농업법인의 경영성과 분석
제4장 농업법인의 경영실태와 애로요인 분석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1990년 농업법인제도의 도입과 함께 설립되기 시작한 농업법인은 매년 증가하여 가족농과 함께 우리나라 농업경영의 주체로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농업인력의 고령화로 인하여 가족농의 약체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족농의 협력과 연대를 바탕으로 한 농업법인경영의 역할과 기능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정부는 농어촌공동체 회사, 들녘별 경영체 등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하여 마을단위 또는 일정 지역범위의 공동경영 관련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사업주체의 법인화를 추진하는 등 농업법인은 점차 농정의 주된 정책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법인경영의 부실화에 대한 우려도 크다. 농업법인 제도 도입 초기에 농업법인 육성 과정에서 부실법인이 대량으로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로 대두된 경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법인에 대한 경영실태조사 및 통계청 농업법인 통계의 원자료 분석을 통하여 농업법인의 경영실태 및 애로요인을 도출하여, 농업법인 관련 정책개발 및 컨설팅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gricultural corporations’ profitability and stability indicators have their turning points between the 7th and 10th year. In that time, profitability indicators and stability indicators turn to a downward trend from an upward trend. Growth indicators show that earlier performance of corporations is satisfactory compared with poor performance after the 5th year.
In 1-3 years duration, satisfaction level by 5-point Likert scale is relatively low. In terms of management part, satisfaction level on production technology, role allocation and social credit is high, while satisfaction with securing workforce and funding is low. By business contents type,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st in agricultural food processing, followed by distribution, entrusted farming, and agricultural production.
Securing workforce is pointed out as the biggest issue in production management. In terms of distribution and sales, difficulty in securing the market and profitability degradation seem to be major problems. Shortage in operational funds, problems with operating the organization, conflict in the region and unskilled fund management are also pointed out as the major managemental problems.
Except more than 10-year operation, inclination for expansion is noticed. By business contents, willingness to expand business is high except the entrusted farming sector.
The followings are the issues which corporations are facing in management. First, regarding agricultural workforce policy, respondents claim that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countermeasures for the demand-supply mismatch problem of foreign workers and securing professional workforce in agriculture. Second, in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ector, there is the need for supporting facilities like cold stores. Third, there is the need for the fund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or the expansion of funding support for new products, purchasing fund for raw materials. Fourth, enhancing the systematic dissemination activities regarding new crops or technology is noted. Finally, the Food Sanitation Law for farmers on food processing regulations, and other construction, environmental regulations should be alleviated.
Researchers: Park Moon-ho and Lim Ji-eun
Research period: 2013. 9. ~ 2014. 1.
E-mail address: mh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8816
-
좋아요0
-
다운로드163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13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농정성과 확산(KAPEX) 사업 결과보고서(Ⅰ)
- 이전글
- 농업분야 ODA 사업 평가지침 작성을 위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