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 고용 노동력 수급 실태와 대응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정책 동향
제3장 농업 고용 노동력 현황
제4장 농업 고용 노동력 공급 경로
제5장 결론: 대응 방안
요약문
농업 노동력을 확보하는 것은 한국 농업 생산력의 유지 및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농가의 가족 노동력이 급감하여 한계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고용 노동력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는 노동시장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 과제다. 지역에 따라, 작목 및 품목에 따라 고용 노동력 수요와 공급 양상은 다양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정책 대응이 쉽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농업 고용 노동력과 관련된 현황을 다각도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연간 노동시간 단위로 추산한 통계 분석 자료는 그동안 잘 드러나지 않았던 농업 노동력 수급 실태를 기초적인 수준에서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 노동력과 고용 노동력의 구성비 변화가 초래한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사례도 일부 소개되고 있다. 최근에 눈에 띄게 증가한 농축산 분야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실태도 다루고 있다.
Background of Research
Agricultural workforce problems relate to maintaining the production capacity in the middle and long term basis, but directly relate to supply and demand of workforce to cope with shortage in family members available for work. Not until recently, has research on present conditions on agricultural workforce been carried out and alternatives to mitigate problems with supply and demand of workforce have begun to be submitted; however,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 of establishing appropriate policies.
Purpos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supply and demand of workforce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o propose directions to define policies and tasks. Detailed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s.
First, present condition on family and employed agricultural workforce is analyzed. Second, characteristics in demand of agricultural workforce are analyzed in the consideration of distinctive types of each entity such as business in crop area. Third, currently existing agricultural workforce employment mechanism is researched and analyzed. Fourth, the policies and system related to agricultural workforce market that have already been in practice and in plan are analyzed and tasks and direction in establishing those policies are propos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Main methods of research are journal reviews, statistics analysis, survey analysis, and case study analysis. In the result of research, Part 2 reviews previous studies on agricultural workforce issues and trends in system and policies. Part 3 studies the issues raised and policies requested by farm owners regarding agricultural workforce employment; this is carried out by analyzing survey results from farm owners. Furthermore, 'Agriculture, forestry & fishery industry census and agricultural economy' i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change in constituent of family and employed workforce. Part 4 analyzes case studies where farm owners utilize their personal social network to secure employed workforce, employ professional workers usually present in major crop production area, employ foreign workers, utilize local workforce policy and recruitment agencies,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intervene to resolve the issue in local level. Finally, Part 5 reviews recently discussed legislation maintenance and policy development relevant to supply and demand of agricultural workforce, and summarizes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from previous chapters together to propose tasks and directions in future.
Researchers: Kim Jeong-seop, Oh Nae-won and Heo Joo-nyung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0.
E-mail address: jskkjs@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1614
-
좋아요1
-
다운로드146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 R&D 거버넌스 효율성 제고 및 민간 투자 활성화 방안(1/2차연도)
- 이전글
-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 (1/2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