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산지이용 증진을 위한 산지임대차 활성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산지이용 및 임대차 실태 분석
제3장 산지이용 및 임대차 관련 국내외 제도 분석
제4장 산지이용 증진 및 임대차 활성화 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치산녹화사업을 실시하여 산림을 조성하였고, 식재된 산림의 훼손을 엄격히 제한하는 산림보전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로 우리나라의 산지 전체는 이용보다는 보전이 우선시되는 정책기조 하에 놓이게 되었다.
보전 위주의 임업정책은 1990년대 후반부터 산업으로서의 임업을 육성해야 할 필요성이 사유림 부문을 중심으로 나타나면서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유림 경영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시책들이 나타났고, 이것은 경제림 육성과 협업경영 및 대리경영의 도입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전 위주의 정책기조는 지금까지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행 제5차 산림기본계획이 비전으로 삼고 있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의 달성을 위해서는 산림경영의 경제성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임업정책의 근본기조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차원에서 재검토하여 여기에 입각한 산지이용 및 산림경영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산지이용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무엇보다 산지임대차를 둘러싼 산지이용 실태를 면밀히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산지이용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Forest areas should be utilized efficiently to increase the income in forestry management, and their use can be boosted through support policies. Forest production and management policies focused on forest trees’ growth and timber production. The policies, which have not allocated a part of forest areas for producing non-timber forest products or have not considered non-timber forestry management equally with silviculture, could not solve timber production’s low profitability. This study aim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and system improvement plans to promote the use of mountain areas by seeking for ways to increase their lease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overseas field works, surveys on people engaged in forestry and officials in charge, and an entrusted survey on the case village. For the field surve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a typical mountain village’s land use by lot and forest owner. We also interviewed forestry holdings leasing a mountain area. For the overseas field work, we visited Switzerland and examined its present status of forest management and forest-land use. We questioned people engaged in forestry through mail surveys and interviews and the Korea Forest Service’s public officials through mail survey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case study on Hwaak-ri shows the typical Korean mountain village’s forest-land use. Forest owners are not very interested in mountain areas’ silvicultural utilization, which leads to their insufficient use. On the other hand, success factors for forestry management enterprises leasing the areas are that they produce non-timber forest products and can lease the large areas.
According to the Swiss case analysis, the country has established a forest-land use structure clearly different from an ownership structure. Compared to it, Korea has not institutionally classified the concepts of forest owners and forestry holdings.
To achieve forestry policies’ top goal of sustainable forest development, forestry management’s economic sustainability should be secured first. For this, existing laws centered on forest preservation should be changed into a balanced system coordinated with policies and projects for increasing forestry management’s economic efficiency. Accordingly, the basic policy direction needs to be modifi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principles and standards that ease regulations at the level of forest-land conservation which limit its forestry use.
Second, it is needed to abolish regulations on non-timber forest products production in forest areas and to eliminate discrimination between the timber-producing silviculture industry and the non-timber forest products industry.
Third, the total size of forest areas should be set where non-timber production forestry management is possible permanently.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and support new business organizations or forest-land use plan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orestry management structure. The measures include remodelling of cooperative management, which was presented earlier, into a form that forest owners participate in holdings’ decision-making.
Researchers: Kim Soo-suk; Seok Hyun-deok; Han Hye-sung
Reserch Period: 2014. 1. ~ 2014. 10.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4310
-
좋아요0
-
다운로드38
같은 분야 보고서
-
산림 인접지역의 효과적 산불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
안현진2024.12.30KREI 보고서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2022.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정주 여건 변화에 대응한 농촌 주거정책 추진 방안
- 이전글
- 물가안정을 위한 축산물과 축산식품 유통체계 구축 연구(4/4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