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FTA를 활용한 농산물 수출증대 전략 연구(1/2차연도)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산물 수출 동향
제3장 농산물 수출의 FTA 활용 현황
제4장 FTA 체결국별 특혜관세와 관세절감 효과
제5장 FTA 농산물 원산지 규정의 현황 및 특징
제6장 FTA 활용 결정요인과 무역효과 간의 관계분석
제7장 농산물 수출입의 FTA 활용 실태 분석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나라는 2002년 한·칠레 FTA 타결을 시작으로 2015년 1월 현재 54개국과 15건의 FTA를 체결하였다. 특히, 2014년에는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와 FTA를 비롯하여 중국과의 FTA, 뒤이어 베트남과도 FTA를 타결하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FTA체결로 인하여 수출특혜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수출량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공급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 문제를 농산물 수출확대를 통해 해결한다는 측면에서도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체결한 FTA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농산물 수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농산물 수출의 FTA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특혜관세의 혜택을 실질적으로 제고시키기 위하여 FTA 협정별 원산지 규정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FTA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특히 농산물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FTA 체결국 수출에서 애로사항을 면밀히 조사·분석함으로써 FTA 환경에 적합한 세부적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FTA 체결국 수출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Beginning with the FTA with Chile in 2002, Korea has signed 12 FTAs with 50 countries as of October 2014, and its proportion of FTA trade volume is expected to be over half its total trade volume. Some expect a large increase in regional exports if the FTAs are actively utilized, but exports have not grown as much as expected. This is because Korea’s FTA utilization ratio of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is 22.8%, which is a very low level. That is, it shows that the FTAs, which the nation signed, have not been used efficiently in agricultural export and that export increase effects due to FTA preferential tariff cuts were small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reason for the low FTA utilization ratio in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is that most export companies are small-scale so they do not know a prerequisite for FTA preferential tariff reduction, place-of-origin regulations, or they have difficulties in being issued a certificate of origin for export owing to lack of people exclusively in charge. Unfortunately,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current state of rules of origin by FTA and by item has not been fully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k for new export strategies which can maximize the FTA utilization ratio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place-of-origin regulations by item and by FTA partner country and the tariff rate structure.
Method of Research
We drew strategies for increasing exports by partner country and by item suitable for the FTA environment by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urrent situation of FTA partners’ export markets and rules of origin.
First, we analyzed the present state and features of rules of origin by FTA to identify the FTA utilization status of agricultural exports and practically improve preferential tariff benefits. For this, we estimated agricultural exports’ utilization ratio of FTA preferential tariff by FTA partner and by item group, and suggested plans to enhance the utilization ratio by major market. We also compared and analyzed preferential tariff structures on the basis of tariff concessions by FTA partner and by product group, and measured tariff reduction effects by item group and by process criterion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the EU. To figure out the requirements of rules of origin,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maximizing FTA preferential duty benefits, we analyzed the rules regarding major agricultural products, compared FTA partners’ ru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strictiveness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sector by FTA by designing or calculating 13 stages of previous studies’ restrictiveness index related to the place of origi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lation among FTA utilization ratios in export by using determinants of FTA utilization such as the previously calculated FTA preferential tariff benefits and place-of-origin restrictiveness indic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rules of origin, which are the key of FTA utilization, on overall trade through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effects. Last, we established detailed export strategies suited to the FTA environment and drew policy implications to dominate the export markets of FTA partner countr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ifficulties of domestic exporters and importer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export to the nation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various strategies are needed to maximize FTA effects by comparing FTA partners’ complex and diverse country-of-origin regulations and analyzing their features in order to increase tariff reduction effects and the low FTA utilization ratio in agricultural export.
First, given that strict place-of-origin regulations lower trade creation effects resulting from FTA preferential tariff benefits, a strategy is necessary to maximally raise import barriers of strict conditions for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by independent rules of origin from a point of view of a net importer of agricultural products before the conclusion of the regulations agreement, and to maximally lower export barriers by negotiating eased rules for exported agricultural products. In case of the FTA place-of-origin regulations agreement which have been already signed, improper rules should be revised through the existing implementation committees by FTA.
Additionally, because domestic exporters of agricultural products have difficulties in FTA utilization mainly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complex procedures related to the place of origin, policies are needed to expand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FTAs, nurture FTA experts, and diffuse the management system of FTA certificates of origin in order to promote the exporters’ utilization of FTAs. A certain level of government support can also be an effective strategy to cultivate FTA specialists of domestic companies in FTA partners in the mid and long term.
Researchers: Lee Byoung-hoon, Eur Myong-keun, Chung Dae-hee,
Park Han-ul, Yun Yeong-seok, Han Bo-hyun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2.
E-mail address: bh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190
-
좋아요1
-
다운로드76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 에너지 이용실태와 정책방안 (2/2차연도)
- 이전글
- 한식정책 추진 실태와 개선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