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국형 ODA 모델」 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심화 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농촌종합개발
제3장 농산물 가공
제4장 농업기술개발 및 현장지도 시스템
제5장 식량작물 생산성 향상
제6장 농업생산기반 프로그램
제7장 요약 및 제언
요약문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 예산과 사업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확대되면서 농업 및 농촌개발 분야의 국제협력 사업도 크게 늘고 있다. 한국국제협력단이나 대외경제협력기금을 포함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과 같은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많은 농업, 농촌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현장 인력들은 개도국 농업 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우리의 정책경험과 기술을 전수해 줄 수 있는 보다 쓸모 있는 교재를 원하고 있다. 지난 60여 년 동안 우리나라는 많은 정책경험을 쌓아왔고 농업, 농촌개발 분야에서도 개도국이 벤치마킹할 만한 경험과 기술을 상당히 축적하였다.
그러나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매체가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왔고,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2012년 「한국형 ODA 모델」을 설정하고 부문별로 세부 프로그램을 제시한 적이 있다.
이 보고서는 당시 제시된 농림업 분야 프로그램 중 일부를 수정, 보완하고, 개도국 담당자들이 이들을 자국에 적용할 때 보다 쓸모 있게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Background of Research
Korea has endeavored to create the so-called the “Korean ODA Model” and to develop textbooks which describe policy experiences of each public sector of Korea for their effective transfer to developing countries in the process of ODA programs and projects. This study is a response to this policy request by providing materials which can be possibly used as textbooks and references as well for policy makers and instructors.
Method of Research
Among twenty cooperation programs in the agricultural sector, five are selected through reviewing Country Partnership Strategies (CPS), and they are: Agricultural R&D and Extension,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Food Crop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Each program report introduces Korean agricultural policy for each field, and then cases of international ODA projects implemented by Korea or international societies. It also include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which will be useful for their consideration of application of Korean policy experiences. A synthesizing report includes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summaries of five program reports.
Researchers: Heo Jang, Jeong Seung-eun, Cho Han-seul, Lee Sung-hee, Lee Nam-ho
Research Period: 2014. 1 ~ 2014. 12
E-mail address: heoj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8374
-
좋아요2
-
다운로드4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주요 시설원예 작물의 냉난방 및 보온형태별 경영실태 분석
- 이전글
- 지역임업 및 지역 산림 관리 활성화 방안(1/2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