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분야 사회갈등 관리실태와 개선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갈등관리이론 분석
제3장 공공갈등 관리 실태
제4장 농업·농촌 갈등사례 특성 분석
제5장 개별 갈등사례 정밀분석
제6장 국내외 갈등관리 선진 사례 및 제도
제7장 농업·농촌분야 갈등관리 개선방안
제8장 요약 및 제언
요약문
최근 농업·농촌분야에서 생성되는 사회갈등이 늘어나고 있고, 밀양 송전탑 갈등처럼 생성된 갈등이 해결되지 못한 상태로 봉합됨으로써 농업계 및 농촌사회에 미치는 후유증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내용적으로도 그동안 농업·농촌분야의 사회갈등이 농산물시장 개방 등 정부의 주요 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주축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갈등의 내용들이 세분화·전문화되기도 하며, 농업·농촌과 비농업·도시부문의 연계 형태로도 나타나 갈등의 유형 및 구성이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이런 여건 하에서 농업·농촌 분야의 갈등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갈등을 조기에 조정하거나 체계적으로 해결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이런 문제를 체계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농업·농촌분야에서 발생한 갈등사례의 실태를 파악하고, 실태 파악을 통해 확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 및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onflicts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that have not been resolved and thus people involved had to suffer from the aftereffects. However, there is no social system to manage or mediate the conflicts at early stages. This study analyzes conflict cases that broke out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and proposes how to introduce a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ocial systems to resolve such issues. As the general basis, we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pproaches on conflict management and the advanced systems and cases we could learn from.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studies both in Korea and a foreign country, commissioned case studies, and advisory conferences. The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the conflict database using fsQCA 2.5 software. The field study in Korea was conducted for in-depth analysis of conflict cases and to investigate how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ere operated. Field studies in the foreign country were used to learn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n Germany. Commissioned studies were used to investigate in depth the conflict cases including high-rise apartment construction in Shinan village and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in Miryang.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Human behavior theories are the primary tools to explain the actions of those who are involved in conflicts. The main human model that conflict management theory could base on is homo reciprocans because it is a type of social human that always takes into account the counterparts and takes strategic actions based on strategic thinking. Homo reciprocans puts a high value on fairness and seeks for mutual gain and sustainability of everybody rather than reaching a zero-sum situation.
Conflict management programs with detailed guidelines are necessary in order to resolve conflict cases. This study considers the Harvard concept as a primary conflict management program and the Tit for Tat strategy as a subsidiary program. The Harvard concept is a conflict management program that suggests we separate people from the problem, and apply ‘soft’ negotiation to people and ‘hard’ negotiation to the problem.
The results of the fuzzy set analysis show that the persistence of the conflicts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is strongly related to the intensity of the cooper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the interested parties and the people who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conflict. Also, the more consultative groups, the longer conflicts persist. As the interested parties change from those who initially brought up the issue to another group of people, the conflict persists longer.
The direction of conflict management should be as follows in order to reasonably resolve issues. First, have the Harvard concept as the primary principle to apply to conflict cases. Second, reorganize and modify the laws and regulations that are considered as the hardware to resolve conflicts. Thir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hould have conflict management manuals ready so they can properly respond to conflicts. Fourth, in cases when confli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a policy or when the social, economic impact of a conflict is big, MAFRA should take proactive action rather than passively responding to the issues based on the manual. Fifth, mediators should be trained who can mak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work and resolve the problems.
Researchers: Kim Soosuk, Heo Jeonghoi, Han Hyesung, Hwang Yeonsu
Research Period: 2015. 1. ~ 2015. 10.
E-mail address: soosu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5241
-
좋아요5
-
다운로드110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수단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이전글
- 농식품 수출조직 운영실태와 육성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