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TCR대비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 농산물 가공수출 사업 협력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산물 수급 및 농자재산업 현황
제3장 농산물 교역측면에서 TCR의 비교우위분석
제4장 농산물 가공 및 수출 여건 분석
제5장 한국의 농업부문 투자협력 사례분석
제6장 농산물 가공 및 수출사업 협력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중앙아시아는 글로벌 경제 중 가장 역동적인 유라시아 경제적 통합의 허브역할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특히,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높은 성장성과 시장성을 지닌 신흥무역투자 대상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농업부문의 생산증대, 인프라 확대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시점에서 정부의 중점 추진사업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대하여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며, 유라시아 지역의 주요 협력대상국과의 협력분야를 발굴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농업부문 성장과 우리나라와의 협력 잠재력이 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대상국가로 선정하였으며, 협력분야는 농산물 가공과 수출분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지조사와 현지에서 개최한 국제세미나 등을 통해 정책현안을 발굴하고, 시장분석과 협력사례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부와 민간차원의 협력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Eurasia Initiative, one of the Korean government's key projects. This research aimed to draw problems and implications by analyzing conditions of agro-food and agricultural input market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regions that are expected to be a hub of Eurasia's economic integration, and to present agricultural cooperation pla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by seeking concrete fields for partnership at the government and private level.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d the technology-intensive agricultural input industry as well as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We proposed short- and mid/long-term cooperative plans in consider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conditions and condition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and export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The promising short-term cooperation projects in the processing sector are the chicken industry in Kazakhstan and the fruit and vegetable processing project in Uzbekistan. In the case of short-term partnership programs of the processing sector, foreign companies' direct investment is urgent. Capacity building projects such as technical guidance,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soon to improv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and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governmen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The short-term cooperative projects in the trade sector are needed for Uzbekistan's fresh fruits and medicinal herbs that are currently traded, and mid- and long-term cooperation projects in agricultural input trade, includ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greenhouse materials, are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regions and market condition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in transition from the socialist system, because overall societies are rigid, there are many factors that limit accepting new agricultural technologies and operation methods.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new farming techniques, interdisciplinary partnership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s required. It is needed to strengthen agricultural research and faculty capacity in the short term and to reform the curriculum and establish the agricultural innovation system in the long term.
Researchers: Choi Ji-hyun, Park Mi-seong, Park Hanul
Research Period: 2015. 1. ~ 2015. 12.
E-mail address: jihchoi@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9079
-
좋아요2
-
다운로드5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2/2차년도)
- 이전글
- FTA를 활용한 농산물 수출증대 전략 연구(2/2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