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 조사 및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 취약계층의 정의와 사회적 배제
제3장 취약계층 대상 국내외 정책동향
제4장 통계로 본 취약계층의 도농 간 생활실태 비교
제5장 서비스 접근성에 따른 농촌 취약지역 현황
제6장 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 조사
제7장 요약 및 제언
요약문
농촌에는 도시에 비해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한다고 알려져 있다. 취약계층이란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사회적‧정치적·문화적 측면에서 배제된 약자를 총칭하는 것으로 농촌의 경우 영세고령농, 독거노인, 조손가족,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이 대표적이다.
농촌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정기적으로 생산하게 된다면, 정책의 성과와 실효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의 생활여건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농촌의 취약계층을 정의하고 그들의 생활실태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조사의 의의와 방법을 확인하는 한편 효과적 관련 정책 지원의 과제를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다양한 선행연구 및 관련 법제도에 대한 검토, 9종의 기존 통계자료 2차 분석, 농촌 취약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의 1,000가구에 대한 방문 설문조사 등이 이루어졌다. 더불어 지자체 및 민간 단위의 우수 활동 사례를 살펴보았고 향후 중앙정부 정책 지원 내용과 방식의 변화 필요성, 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의 정기적 조사와 DB 구축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There are several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such as petty elderly farmers,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low-income grandparents- grandchildren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 on. Although life conditions of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are significantly poor, the effort of grasping their life conditions has been insufficient. Also, in the face of specific problems of vulnerable rural areas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the areas have not been handled by researches. Therefore, through building up related data, this study deducts outcomes and effectiveness of related policies and suggests effective policies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with results of analysing th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fines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and then surveys and analyzes their life conditions. Subsequently, methods and implications of the survey are to be explained, and the effective support policies for them will be proposed.
Method
The study reviews advanced researches and related laws in order to define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then designates petty elderly people, disabled people and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Also the study identifies support programs for them of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and those of other countries in an attempt to draw implications.
Then, it analyzes related existing data to figure out their living status. The analysis is particularl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to identify the vulnerable areas based on service accessibility, and compares vulnerable social groups who live in the vulnerable areas and those who live in areas with better accessibility.
Finally, it proposes policies to enhance quality of life of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existing data that is analyzed in the study was collected by each survey that targeted each vulnerable group (elders, children, disabled people and so on). Also the data does not have sufficient sample size of people who live in rural areas. Therefo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existing data are not sufficient to grasp life conditions of complex vulnerable social groups that belong to more than two categories of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disabled elderly and multi-cultural family. Hence, the study could not find out the vulnerable people’s life status in rural areas in detail.
The study figures out the vulnerable areas in rural areas and finds out the facts that 18.3% of rural population lives in service inaccessible area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the vulnerable areas is beyond 30% and population density is only 1/100 of urban areas.
The results of our survey targeting vulnerable people living in the rural areas are as follows. The food cost made up the biggest part of the living expenses and 47.4%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food-poor. Also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ve not joined the programs offered by public institutions during the passing year is only 26.5%.
A few implications are drawn through the study and it suggests possible policy alternative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consistently,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s should be accumulated. Then, the data could be a useful resource to develop meaningful policy issues. Secondly, it is essential to identify and collect best practices of various programs that have been implemented by a local government or civilians. The programs can be shared and policy makers could apply them when they establish a new policy plan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reas. Thirdly, direction of support program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of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be changed. Support programs need t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vulnerable areas and social groups’ reality.
Researchers: Song Miryung, Cho Mihyoung, Sim Jaehun, You Eunyoung and Kim Nari
Research period: 2015. 9. ~ 2016. 4.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02922
-
좋아요2
-
다운로드347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 인력 육성 및 농촌 발전 정책과 귀농·귀촌 - 귀농·귀촌 정책 연구 포럼 제4차 토론회 자료집
- 이전글
- 중장기 농촌 지역개발의 새로운 틀을 마련한다(2)- 미래 농촌 정주공간의 진단과 정책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