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유기농업의 비시장적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유기농업 농산물 생산 및 소비 개황
제3장 유기농업의 비시장적 가치
제4장 유기농업의 비시장적 가치 분석
제5장 주요 유기농업 선진국의 지원 정책 사례 조사
제6장 유기농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유기농업은 토양, 생태계 및 사람의 건강을 지속시킬 수 있는 보다 넓은 의미의 농업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 등 고투입 집약농업을 통해 생산성을 최대로 높이고자 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관행농업보다 환경보전적 가치와 같은 공익적 가치가 더욱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정책에 힘입어 유기농산물 인증면적은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최근 들어 농자재 가격 상승, 노동력 부족 등으로 감소 내지는 정체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기농업의 확산을 통해 제공되는 환경재는 공공재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을 통할 경우 적정 수준으로 공급되기 어렵고, 따라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 보고서는 유기농업이 지니는 비시장적 가치를 경제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정부의 유기농업 지원 근거를 얻고자 하였다. 우선 유기농산물 생산 및 소비 개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기농업의 비시장적 가치 항목을 설명하고, 대체비용법과 선택실험법을 통해 비시장적 가치를 경제적으로 평가하였다. 나아가 계층분석 의사결정과정을 적용하여 유기농업의 환경보전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으로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마련’, ‘유기농업의 종합적 가치에 관한 소비자 교육·홍보·행사 운영’, ‘판매채널 확대’, ‘지속직불제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Organic agriculture in a broad sense is a farming system that can sustain soil, ecosystem and human health. Therefore the public services such as environment conservation provided by organic agriculture are known to be more various than conventional agriculture, which is orient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using high input. The organic land has steadily increased with the government support, however, the recent socio-economic conditions hamper the growth of organic agriculture. Government support is necessary as environmental service provided by organic agriculture cannot be supplied at an optimum level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good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vestigate the grounds for supporting organic agriculture by the economic analysis of the non-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Research Methodology
First,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regarding the economic analysis of non-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and policies of selected countries. In order to assess the non-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replacement cost method(RCM) and choice experiments(CE) are applied. In using RCM, literatures review on the assessment on the impact of organic agriculture for environment conservation were extensively carried out. A survey b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pply CE, based on stated preference to evalu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non-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CE is widely used to estimate the non-market value, and useful methodology that considers multi attributes of the valuation objective comprehensively. RCM and CE are complementary as the former is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and the latter estimates by the questionnaire. Last, the AHP analysis is made on the basis of the survey by questionnaire with experts to determine priorities of policy instruments for vitalizing organic agricultur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RCM result shows that the value including both for market and non-market ones of organic agriculture is higher than conventional agriculture by 20~45% for paddy field rice, and by 2~4% for the orchard. The non-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outweighs the smaller market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compared to conventional agriculture. Also, organic agriculture has higher potential to mitigate green house gas emission by 10.6~89.3% than conventional one. If 1% of the total agricultural area is cultivated organically, this is equivalent to 1.1 billion won.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CE, the total sum of the economic value of willigness to pay for the value amounts to 700 to 1,100 billion won, which is 2.2 to 3.5 times market value. And three class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latent class model. It indicates that differentiated policy approach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prioritizing the policy instruments for organic agriculture, the AHP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by questionnaire for experts reveals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promote ‘Establishing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first place)’, ‘Consumer education and promotion for the value of organic agriculture (second place), and ’Expanding the sales channel (third place)’, ‘organic agriculture maintenance payment (forth place)’ as a policy instrument.
Considering the non-market contribution of organic agriculture to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cosystem restoration,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ir income loss due to the organic practice through maintenance payment for the longer period. And, agri-environment conservation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to induc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actice. Last, Investment on technology development needs to be accompanied to further expand organic agriculture.
Researchers: Kim Chang-gil, Jeong Hak-kyun, Koo Ja-choon, Lee Hye-jin and Kim Yong-gyu
Research Period: 2015. 1. ∼ 2016. 12.
E-mail: changgil@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10546
-
좋아요5
-
다운로드8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제5차 산림기본계획 ('08-'17) 평가를 위한 연구
- 이전글
- 농업정책자금 집행률 제고를 위한 농신보 제도개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