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과 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기업의 농업 진입 현황과 시사점
제3장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정책 및 제도 분석
제4장 기업의 농업 진입 해외 사례 분석
제5장 기업의 농업 진입 관련 쟁점 및 개선과제
요약문
최근 일련의 기업의 농업 진입과 관련한 갈등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므로 해서 대기업의 농업 진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엄밀히 보면 기업의 농업 진입 문제는 흔히들 생각하는 진입 관련 규제 수준 문제로만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농정의 기본방향 설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문제는 농정의 기본방향이 가족농 중심 체제를 지향하느냐 아니면 기업농 중심 체제로 전환하느냐라는 문제와 연결되고, 기업농적 농업경영체 육성을 농업 내부의 내발적 발전에 기반을 둘 것인가 아니면 농외자본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방식을 지향할 것인가 하는 농정의 방향 설정과 연관되어 있다.
이처럼 기업의 농업 진입 문제는 논의의 수준을 어느 차원으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검토내용이 달라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들을 모두 고려하여 현행 농정프레임 및 추진체계하에서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enters on identifying issues relevant to basic directions of the agricultural policy and addressing problems by microscopically examining issues surrounding the entry of agricultural enterprises. Here, the enterprises' entry into the agriculture sector means that the capital of the non-agricultural sector inves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or establishes a subsidiary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the form of vertical integr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agricultural enterprises’ entering into the agricultural sector i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agricultural corporation rather than farming association. The number and investment scale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5 years. Particularly, the proportion of non-farmers’, investment in agricultural corporations with contributions of over 500 million won was larger than that of farmers’, and this trend is expand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gricultural corporation system in 1990, it has been allowed to establish an agricultural corporation either as an agricultural corporation based on farmers’ main contribution or an agricultural corporation via the participation of off-farm capital investment. Investments by the non-agricultural capital include not only the direct investment in agricultural corporations but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as subsidiaries in the form of vertical integration (sequencing) of existing companies. It is to be noted, however, that above-mentioned investments have mainly taken place in the livestock sector.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Large-scale Farming and Fishery Company Project since 2008 to nurture agricultural enterpris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field, especially arable crop production. However, the Project has not made marked outcomes. Even though this stagnation is partly due to the fact that the reclamation area has not yet been completed, the main reason is the lack of aggressiveness of companies selected as beneficiaries of the Project. Also, momentum of the selected companies has been weakened by the dispute regarding Dongbu Farm Hannong's Glass Greenhouse Project which had caused severe conflicts between interested farmers and the new entrant.
The issues that concern companies' entry into agriculture are two-folds. First, the concept of firms' entry into agriculture, issues that are pending in relation to this concept, and the logic underpinning the pros and cons of firms' entry into agriculture are at the center of debate. The second is the question of how to solve an individual agenda, which, again, has closely to do with mitigating and/or addressing conflicts between interested participants. Additionally,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s for the Agricultural Participation of Enterprises' is of importance.
This study suggests means and ways to improve some issues, amongst others, that require more detailed analysis and alternative proposals, including ① promotion of Large-scale Farming and Fishery Company Projects, ② introduction of a profit-oriented private investment business method as an alternative business model, ③ revising the guidelines for companies' participation in agriculture, and ④ management of practical conflicts and solutions.
Researchers: Kim Byung-ryul, Kim Soosuk, Gouk Seung-yong, Rhew Chanhee, Kim jongin
Research period: 2016. 10. ~ 2017. 1.
E-mail address: br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40247
-
좋아요0
-
다운로드34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축산물 품목분류 및 HS 코드 도감: 모니터링 품목
- 이전글
- KREI 미래농정포럼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