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농식품 분야 영향과 정책 패러다임 전환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청탁금지법 시행의 농축산물 거래 및 수급에 대한 영향
제3장 청탁금지법 시행의 외식업에 대한 영향
제4장 농식품 선물·접대에 대한 인식 및 행태와 여론 분석
제5장 농식품 분야 정책 패러다임 전환과 과제
요약문
공직자 등에 대한 부정청탁 및 공직자 등의 금품 등의 수수를 금지하는 청탁금지법이 시행된 지 9개월이 지났다. 공직 기강의 확립과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구현한다는 법 취지와는 별개로 경제적 파급영향에 대한 논란이 법령 제정 당시에는 물론, 법 시행 이후에도 거듭되고 있다.
이 연구는 청탁금지법의 파급 영향이 큰 분야로 제기되는 농축산업 및 외식업과 관련하여 법 시행 이후에 나타난 영향에 대해 조사 등을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산업계와 정부의 대응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생산, 고용, 판매 관련 통계 지표를 비롯하여 대형유통업체의 매출액, 도매시장 거래자료, 법인카드 외식·화원업 결제 실적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법 시행 이전의 변동 추세를 고려하면서 법 시행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 사회의 주요 구성원인 직장인과 소비자가구를 대상으로 법 시행에 대한 평가, 선물·접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소비행태 변화 등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청탁금지법 시행과 관련한 여론에 대해 소셜미디어 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농식품 분야의 우선적 대응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while treating clients to a meal has declined, the frequency of meals with family has increased, with at-home consumption of fruit, nuts, meat, and convenience food growing somewh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public opinions through social media big data, positive sentiment was stronger than negative sentiment in connection with the enforcement of the law. Negative sentiment was relatively strong righ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and at holidays. Economic and legal factors have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remarks on the law. In particular, economic factors were analyzed to have bigger effects. This has a meaning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office workers and consumer households.
Response Direction on the Agri-food Sector and its Policy Tasks
Since the anti-graft act took effect, agri-food consumption has shown the following trends. First, with demand for gifts and meals for clients decreasing due to the enforcement of the law, demand for agri-food has declined. Second, as everyday personal consumption of agri-food has become important instead of gifts or meals for clients, agri-food consumption has diversified (everyday consumption pursues convenience agri-food; personal consumption demands the diversity of agri-food). Third, agri-food consumption has come to depend on cost-effectiveness(reasonable prices and the quality suitable for personal taste).
In the agri-food sector, a policy paradigm shift is required not only to respond to the short-term decrease in consump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graft act, but also to actively respond to medium- and long-term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A shift is needed from a uniform orientation towards high quality in the past to differenti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customized supply.
To relieve agri-food consumption decrease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seek macroeconomic demand measures including issuing coupons for purchasing agri-food,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agenda such as promoting childbirth, and to develop and diffuse simple gifts or economical menus. To fundamentally respond to changes in agri-food consumption trends, the following medium- and long-term strategies are needed: 1) differenti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region or situation; 2) supply of products and services customized to age groups, gender, and family composition; and 3)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trends in consumption and markets by product and sector.
Major policy tasks by product and sector are as follows.
- Korean beef: Strategies for increasing demand are important, including "promoting Korean beef for export" and "supporting school meals." Given urgency and feasibility as well as importance,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are necessary, including "supporting and certifying direct sales stores" and "boosting transactions of cuts of meat."
- Fruit: In terms of importance and urgency, it is needed to "expand a school meal and refreshment project" and "establish a system for dispersing shipment concentrated on holidays and stably supplying fruits."
- Flowering plants: "Expanding programs for promoting consumption" and "increasing sales channels" are important, urgent, and feasible.
- Ginseng: "Support for expanding export" and "campaigns and marketing for boosting consumption" are important, urgent, and feasible.
- The food service industry: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develop customized menus," "build a supply system of community-based food ingredients," and “secure consumer trust and safety.”
Researchers: Lee Yongsun, Min Kyungtaek, Park Seongjin, Lee Hyungwoo, Park Hanul, and Byun Seungyeon
Research period: 2016. 11.~2017. 5.
E-mail address: ys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22440
-
좋아요4
-
다운로드17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전주시·전주농협 전주푸드 상생협력방안 구축 연구
- 이전글
- 귀농·귀촌과 농촌복지 : 2017년도 농어촌복지포럼 하계 학술세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