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직접지불제 효과 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2/2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직불제 도입과 운용
제3장 직불제 개편의 필요성과 개편안
제4장 농지관리직불제 도입 방안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부문에 직접지불제가 도입된 지 20여 년이 지났으며 이제는 농정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현재 운용중인 직불제 목적들 간 정합성, 성과, 운용상의 문제 등에 대해 다양한 논란과 비판이 제기되고 개편의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도입된 직불제가 제도도입 당시 제시하였던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그리고 농업 내외부의 여건변화 속에 당초 설정한 목표가 지금도 유효한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직불제 실태와 정책목표와의 관계, 성과와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개편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2년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1차년도에서는 직불제 관련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제도 개편방향을 제시하였다. 2년차 연구는 1차년도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불제 구조 개편안을 제시하고 직불제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쌀 직불제와 밭농업직불제를 중심으로 구체적 개편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의무이행사항 등 구체적 개편방안에 대한 농가의 수용성을 조사하였으며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식과 교육효과 추정 등을 통해 제도개편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였다.
Research Background
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direct payment schemes were implemented in Korea and the schemes have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agricultural sector as a policy instrument.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skeptical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rect payment schemes, especially on whether the purpose of the schemes at the time of introduction is still valid. The goal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chemes and suggest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current direct payment schemes in the first year and to set up a specific plan, especially for the schemes on rice paddies (Fixed and Variable Rice Direct Payment; FRDP and VRDP) and dry fields (Upland Field Direct Payment; UFD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first-year study in the second and last year.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study, several research methodologies are applied depending on the target subjects as below.
·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meetings on the pollution levels of agricultural land and water.
· Statistical analysis of farm household economy and food balance sheets
· Questionnaires on the status of farm input use, farmers' acceptance rate for the revised cross-compliance, and willingness-to-pay on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depending on whether the consumers get educated about the multifunctionality by using choice experiments.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Farmland Management Direct Payment scheme (FMDP) should include FRDP, UFDP, and some of VRDP and the payments from the scheme are paid to farmers as a reward for providing the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especially for food security,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agriculture.
FMDP aims to relieve the unequal distribution of the agricultural budget between direct payments for rice paddies and the others and also eliminate the extra incentive for rice production. The cross-compliance (CC) for FMDP is as follows: First, farmers should preserve their farmland to cultivate crops. Second, farmers should record the use of agro-materials, especially fertilizer and chemicals. Third, farmers should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courses about multifunctionality and cross-compliance. Last, dry field farmers should apply some specific agricultural techniques to reduce soil erosion by water.
The acceptance rate for the suggested cross-compliance of FMDP is more than 80%, which means the CC of FMDP is acceptable and realizable to farmers. This is because more than 60% of farmers have already recorded their agricultural input use and they recognize that the educational course is useful for not only getting the remuneration of the direct payment scheme but also increasing their agricultural productivity.
To estimate the appropriate remuneration ratio between the direct payments for rice paddies and UFDP, the farmer's family labor income and the contribution ratio of those farmlands for annual food supply per capita per day are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muneration ratio between those two schemes should be the same, considering the benefit-cost efficiency of carrying out the policy, even though the ratio of UFDP is slightly higher in both criteria.
To conduct FMDP, it is a prerequisite for taxpayers or interest group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and to agree with supporting farmers to provide ‘more’ multifunctionality. To figure out the way for taxpayers to support FMDP,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choice experim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 participants who got education about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show a 20% higher WTP for multifunctionality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ho did not.
Researchers: Kim Taehun, Kim Seonwoong, Kim Jongin, and Park Jiyeon
Research period: 2017. 1. ~ 2017. 12.
E-mail address: taehun@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73878
-
좋아요1
-
다운로드503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촌 지역경제의 실태와 정책 방안
김광선2024.12.31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조사
최현우2024.12.30KREI 보고서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유휴시설 활용 지역 활성화
신병욱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현장 실증 후보지역 발굴 및 현장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형은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3/5차년도)
- 이전글
- 농촌 지역사회 발전 접근방법의 유형과 실천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