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부문 공공 R&D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수요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부문 공공 R&D 추진체계 및 투자 현황
제3장 농업 R&D의 생산성효과 분석 및 투자수요 전망
제4장 농업 R&D의 소득분배 효과 분석
제5장 농업부문 공공 R&D 투자 정책방향
제6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업부문 R&D는 신품종이나 농기계 등의 개발을 통해 농업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였으며, 이러한 생산성 증대를 바탕으로 타 산업 분야에 노동력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전체 경제 성장에도 기여하였다. 또한 최근 국가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대응과 관련해서 농업 R&D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 R&D 투자는 정부나 공공부문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그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에 있다. R&D 투자가 미치는 파급효과의 중요성이나 정부 재정의 투자 규모를 고려할 때 농업부문 공공 R&D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적정 투자수요, 그리고 투자 방향성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부문 공공 R&D 투자가 농업 생산성 증대에 기여한 정도를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농업 R&D 투자액 수요를 전망하였다. 또한, R&D 투자가 농가유형별 농업소득 분배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농업 R&D 투자 방향을 정책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Public R&D investment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Korea's agricultural R&D investment. In 2016, about 900 billion won was invested in the government R&D budget for the agricultural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conomic impact of public R&D in agriculture, estimate investment demand,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R&D policy.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overseas field survey, and survey.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upport system and status of the R&D investment, and the previous research. We use quantitative analys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agricultural R&D investment and to derive investment demand. In order to draw up implications for Korea's agricultural R&D policy, an online survey on R&D experts and farmers, and a field survey in Switzerland were implemented.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public R&D systems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Korea are divided into the on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accordance with the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 an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romotion Act enacted in 2009, the MAFRA establishes and implements the Comprehensive Plan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hereinafter, ‘Comprehensive Plan’) and the annual plan. The current 'Second Comprehensive Plan (2015~2019)' focuses on four core research areas, 14 major technology areas, and 50 core technologies. R&D projects of the RDA are par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motion Project,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10-yea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Mid-term R&D Plan'. The current 'Sixth Mid-term R&D Plan (2013 ~ 2022)' is to develop 70 projects by setting 4 goals and 19 agenda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ominal R&D investment by about 2.6~3.5% each year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TFP in 2030. If this growth rate is reflected in the size of public R&D budge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ood (953 billion won as of 2016),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R&D investment to about 1.3 trillion won to 1.5 trillion won by 2030.
The effects of R&D stock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farms. The change in the producer surplus was found to have both negative and positive values. By farm type, producer surplus resulted from R&D investment concentrated on sideline farms, general farms, side-business farms, self-sufficient farms rather than full-time farms and specialized farms. And the profits of flowers and livestock farms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a large R&D stock effect occurred for small-sized farms. All farm types recorded positive quantity effects due to R&D stock. As for price effect, howe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across the type of farm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composition ratio of outputs and inputs. Small sized farms benefited from the price effect due to the decrease of output prices, while larger farms benefited more from the productivity effect.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 of the MAFRA selects and intensively invests in core technologies. However, this type of investment should be limited to specific research fields. In the R&D investment plan, it is necessary to allocate the investment budget in such a way that it invests in human resource training and research infrastructure formation as in the EU's Horizon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agricultural policy should be set in a way that they support each other.
The agricultural R&D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resource stage befor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ecycling after food consumption like Switzerland. If the sustainable agriculture is to be implemented in each step, the investment demand of agricultural R&D will chang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set up the R&D investment plan in a way that it reflects the agricultural policy paradigm that is properly set up by the policy makers.
Introduction of integrated R&D that resolves agricultural issues more comprehensively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integrated R&D, such as integrated crop protection in Switzerland, needs to be introduced as a new type of R&D that complements current individual technology based R&D.
Researchers: Heo Jeonghoi, Kim Soosuk, Yi Cheongeun
Research period: 2017. 1. ~ 2017. 10.
E-mail address: berliner@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549
-
좋아요5
-
다운로드65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해외농업개발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연구
- 이전글
- 수입곡물 가공 산업의 구조 및 시장성과 분석(2/2차년도) - 배합사료 산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