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2/2차년도) -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 대상 심층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1부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제2장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실태
제3장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 분석
제4장 농촌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관련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안
제2부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제5장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
제6장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인식 영향요인 분석
제7장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관련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안
제3부 요약 및 결론
제8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은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농촌에 계속 유입됨에 따라서 이주민들과 원주민들 간의 사회적 갈등도 빈발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주민들과 원주민들 간의 사회통합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의 사회통합 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연구」의 2/2차년도 연구과제로서, 농촌주민 일반을 대상으로 한 1/2차년도 연구과제의 후속 심화연구이며,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을 초점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농촌의 사회통합 문제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별로 없다. 더구나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를 직접적으로 조사하여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한 선행연구는 없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실태를 경제·사회문화·정치·종합적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관련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농촌 다문화가족과 귀농·귀촌인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This study is an in-depth study on the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have various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they are becoming key factors in the change of Korean rural society in recent years. Therefore,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are very important groups in the discussion of rural social cohes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 measures.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employed several surveys among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focus group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 collaborativ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existing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14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543 urban-to-rural migrants. Four focus group interview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were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22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16 urban-to-rural migrants. The collaborative in-depth research with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on the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was conducted. Existing related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data of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organiz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s and t-test, F-test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cohesion.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urban-to-rural migrants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four aspects: economic aspect, socio-cultural aspect, political aspect, and comprehensive aspect.
Major policy tasks to improve the social cohes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re as follows: 1) in the economic aspect, ① strengthening job place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② actively using social economic policies, and ③ prohibiting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economic activities; 2) in the socio-cultural aspect, ① expanding social exchange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ordinary rural residents, ②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③ strengthening family education and bilingual education, and ④ strengthening learning support and career guidance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3) in the political aspect, ① expand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② strengthe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iscrimination.
Major policy tasks to improve the social cohesion of urban-to-rural migrants are as follows: 1) in the economic aspect, ① activating the social economy with urban-to-rural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in the community, ② improving housing purchase and lease support, and ③ providing and arranging job-related information; 2) in the socio-cultural aspect, ① promoting the social exchange between urban-to-rural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in the community, ② cultivating community spirit and strengthening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③ activating a mentor system; 3) in the political aspect, ① establishing the democratic and transparent village operation base, ② establishing a conflict mediation system and strengthen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ocial conflict, and ③ promoting support for urban-to-rural migrants.
Researchers: Park Daeshik, An Sok, Kim Namhoon, Lim Jieun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17968
-
좋아요0
-
다운로드620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1/2차년도)
- 이전글
- 주요 채소류 수급환경 변화와 대응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