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2차년도): 종합보고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네팔
제3장 인도
제4장 가나
제5장 세네갈
제6장 볼리비아
요약문
이 연구는 아시아 2개국(네팔, 인도), 아프리카 2개국(가나, 세네갈), 그리고 중남미 1개국(볼리비아) 등 5개 나라와 우리나라 사이의 농림업 분야 개발협력 전략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협력의 기본방향과 중점 협력 분야를 제시한 만큼 기본 전략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농림축산식품부를 비롯해 외교부, 기획재정부, 농촌진흥청 등 농림업 분야에서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담당하는 정부부처가 참고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나아가 이들 5개 나라의 경제, 농업에 관한 기초자료도 담고 있어서 국제사회를 연구하거나 자료를 수집하는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 연구원은 2018년 연구를 통해 농림업 분야에서 개발협력을 중점 추진할 16개 나라를 선정했다. 이들 나라에 대해서는 해마다 3~5개 나라를 대상으로 하여 농림업 분야 개발협력 전략서를 작성하겠다는 계획이고, 이 보고서는 그 첫해의 연구 결과물인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
International society has announc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hich implied its sustained engagement in development cooperation. The efficient linkage between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come a crucial domestic foreign policy agenda. There has been an argument that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capacity building are necessary for catching up with the ever-increasing domestic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budgets. Furthermore, more systematic and long-term cooperation strategic road maps will be required.
The previous year’s (2018) study had selected sixteen priority countrie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s for Korean ODA. This study, in 2019, focuses on five countries of them to implement in-depth analyses on current situations and challeng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study, as its final outputs, presents the priority areas of cooperation for each country, which are intended that ODA agencies would consider the areas as the places to plan new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Research Methodology
Besides literature review, diverse databases from World Bank Group, IFAD, FAOStat, Korean Prime Minister’s Office, and EDCF provided statistics for situation analysis.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researchers, and stakeholders from the target countries, and Korean delegates seconded to the countries had also been valuable sources of information. Concerned researchers or experts working at research institute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target countries were requested to join the study by authoring reports on specific themes, including agricultural value chains of some products like rice.
Findings
This study employes the research process: first, it reviewed current economic and agricultural situations, governmental policies and strategies, and reports provided by the researchers and experts of target countries. Econom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were also reviewed. Mid- to long-term strategic objectives and basic directions for cooperation are derived, which led to the provision of more specified priority areas of cooperation.
Priority areas for Nepal are: agricultural technology R&D and extension system, distribution and marketing for agricultural value chain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of food crop—rice.
For India, priority areas are: agricultural processing industry development, agricultural R&D and extension system, and distribution and marketing for agricultural products.
For Ghana, they are: firstly, food security through seed variety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secondly, market access through post-harvest technology, storage and marketing, and market information, and, thirdly, agro-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private investment, cooperatives, and supports for business initiation activities.
Priority areas for Senegal also include food security through seed variety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produc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Others are: income source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private investment.
For Bolivia, the selected priority areas are: firstly, strengthened capacity for countering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enhancement, secondly, capacity building of agricultural policy-making and governance, and, thirdly, community and cooperative development.
Researchers: Heo Jang, Cha Wonkyu, Lee Hyojung, Lee Yoonjung, Cho Sunmee, Lee Mina, Choi Jungman
Research period: 2019. 1. ~ 2019. 12.
E-mail address: heoj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45870
-
좋아요0
-
다운로드42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 도입방안 연구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2차년도): 네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