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수입 과일 품목 다양화에 따른 과일·과채 부문 영향 분석과 대응과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과일 수입 확대 및 품목 다양화 현황과 배경
제3장 수입 확대하, 과일·과채 수급 동향 및 소비행태 변화
제4장 수입 과일의 국내 과일·과채 대체관계 및 영향 분석
제5장 과일 수입 확대에 따른 국내외 대응 실태
제6장 과일 수입 확대 대응 국내 과일·과채 부문 대응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과일 수입은 WTO·FTA 체결 등 시장개방폭 증가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되는 과일 품목도 점차 다양화됨으로써 국내 과일·과채류와의 소비 경쟁 심화가 불가피해졌다. 더욱이 식생활의 서구화와 해외여행 경험 증가, 소비자 선호도 변화 등으로 인해 수입 과일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 또한 과거보다 크게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과일·과채류 생산은 위축되고 있으며, 자급률 하락은 물론, 국내산 소비량이 매년 감소하고 있어 향후 생산기반 유지에 대한 우려가 큰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수입 과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국내산 과일·과채류의 안정적 공급을 원하는 소비자 욕구는 확대되는 추세이므로 이에 부응하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수입 과일의 확대 이후 국내 과일·과채의 수급 동향 및 소비패턴 변화를 파악하고, 수입 과일과 국내 과일·과채와의 대체관계를 명확히 규명하여 그 파급 영향을 분석한 후, 이를 기초로 국내산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Research Background
Since the opening of its agricultural market in the 1990s, the market opening scope expanded along with the conclus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the volume of fruit imports started to surge. Lately, not only the import volume gets bigger, but also the imported items and the countries of origin become more diversified. Amid this trend, local fruits have to compete with imported ones in the market. Korean consumers‘ preference for imported fruits is getting high as more people consume imported fruits with unique taste and get familiar with them. As a result, the production base of indigenous fruits has contracted, and consumption has slowed down, too.
The scope of fruit market opening is likely to get bigger,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FTA and changes in agricultural trades along with Korea’s relinquishment of WTO’s developing-country status. Consequently, fruit imports will increase, and types of fruits imported will get diverse. So it is time to discuss policy solutions to the supply-demand instability of local fruits and In Korea, tomatoes, cherry tomatoes, strawberries, oriental melons, watermelons, etc. are often categorized into fruit-vegetables.
fruit-vegetabl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overall status of fruit imports and local fruit 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Korean consumers. Also,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orted fruits that can replace local ones and to examine what impacts an increase in the import of such fruits has on the supply-demand side of local fruits and fruit-vegetables. By generalizing such analysis outcomes, the study aim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maintain the domestic production base and to expand consumption.
Research Methodology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import expansion, the status of domestic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iversified importing sources, and the state of domestic cultivation of subtropical fruit trees, we collected related statistical data and studied relevant literature. Also, we visi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for a surve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000 homemakers or one-person families to inspect purchasing behaviors for imported or local fruits and fruit-vegetables. Also, we commissioned an external expert to write a manuscript for analysis of 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for imported fruits.
With regards to analysis on substitution relationship between imported and indigenous fruits, we used the monthly transaction data of wholesale markets for the past 19 years from 2000 to 2018 to examine whether their shipment timings are overlapping. We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substitution relationships by building a linear approximation 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LA/IAIDS). We analyzed the impacts on local fruits by imported substitutes by creating a partial equilibrium model composed of econometric equations.
To examine overseas examples to cope with the expansion of fruit imports, we collected and translated the statistical data of Japan’s fruit imports and the bibliographic data of its policy for the fruit industry. Besides, we visited China to see its fruit production and import state, and the government’s policy trends for the fruit industry.
To draw policy tasks in ter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for the supply-demand stability of indigenous fruits and fruit-vegetables, we hosted a consultative meeting to listen to opinions of experts from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local governments, and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rest is omitted. See the attached file for details.)
Researchers: Yoon Jongyeol, Park Kihwan and Park han-ul
Research period: 2019. 1. ~ 2019. 10.
E-mail address: jyyoon0712@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93504
-
좋아요3
-
다운로드1208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산림휴양인프라 수급 실태와 정책과제
- 이전글
- 식품산업의 푸드테크 적용 실태와 과제 : 대체축산식품과 3D 식품 프린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