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코로나19 대응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과제

2020.07.31 164523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자료(D501)
  • 저자
    황의식, 이명기; 순병민; 서홍석; 국승용; 정학균; 박기환; 엄진영; 박미성; 김병률; 홍연아; 김경필; 안석; 김광선; 김미복; 우성휘
  • 등록일
    2020.07.31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목차

제1장 농업·농촌부문 영향과 대응
1. 검토배경
2. 대내외 여건 변화
3. 농업·농촌부문 코로나19 주요 영향
4.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5. 포스트 코로나19 농업·농촌부문 과제

제2장 분야별 영향과 대응
1. 농산물 수급
2. 친환경농산물
3. 화훼산업
4. 농업인력
5. 외식식품산업
6. 농식품 유통
7. 식품소비
8. 농식품 교역 분야
9. 농촌 복지(보건, 교육)
10. 농촌 관광
11. 농업자금 및 농가경제

요약문

❍ 유례없는 감염병(코로나19) 사태가 확산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등 이동제한, 국가 간 입국제한 등의 셧다운 조치가 강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회경제적 위축상황이 발생, 경기 침체가 초래
- 세계경제 위축, 한국경제의 경제성장률도 급락하는 위기 발생

❍ 경기 침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농산물 소비가 많은 외식산업이 극심히 위축되고, 농업생산도 외국인 노동력의 확보가 어려운 여건
- 학교 개학 연기로 학교급식 수요 축소, 농촌방문 자제 등 애로

❍ 코로나19의 농업·농촌부문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가경영위험에 대비, 농업·농촌의 기반유지 보완대책 수립 필요

❍ 정부도 3차에 걸친 추경대책, 한국판 뉴딜정책 등에서 소상공인 지원 등 취약계층 지원과 금융시장 안정 등 보완대책을 추진

❍ 코로나19의 향후 진행과 경제영향 전망은 어렵지만 가능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농업·농촌부문 영향평가는 대책 수립의 기초

저자정보
황의식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황의식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164523
  • 다운로드
    4670
다음글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
이전글
FTA 직접피해보전제도 운용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