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국내 농산물 수요 확대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김치의 농업부문 연계성과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김치산업 동향 및 원료 농산물 이용·제조 실태
제4장 김치의 유통·판매 실태와 최근 동향
제5장 외식·급식시설 김치 조달 및 구매 요인 분석
제6장 소비자의 김치 소비 행태와 구매 요인 분석
제7장 농업과의 연계 강화를 위한 김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요약문
김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문화적인 중요성을 지닌 음식이다. 또한 인구 구조, 경제사회적 여건이 변화하면서 가정 또는 외식·급식을 통한 상품김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한류 문화 확산과 함께 김치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김치의 경제적, 산업적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김치 섭취량의 지속적인 감소, 김치산업의 구조적 영세성, 값싼 중국산 김치 수입의 증가 등 김치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김치산업의 현재 및 미래의 지속적인 발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문화, 산업, 경제적 측면에서의 김치산업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김치산업 발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김치산업이 국내 주요 농산물의 대량 수요처라는 점에서, 김치산업의 발전은 농산물 수급 안정과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그간 김치산업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원료 생산·조달, 제조, 유통·판매, 소비 등 김치산업 관련한 전 단계에서 김치산업 관련한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김치산업의 발전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도출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김치산업을 둘러싼 내외부적 여건 및 환경 변화와 단계별·부문별 현황과 실태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김치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 산업 발전을 달성함으로써 농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과제와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Along with changes in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onditions, the size of the domestic kimchi market has expanded, and so has the kimchi industry. In addition, as the export of kimchi products continues to increase, kimchi, as a driver for developing overseas markets for agri-food, has solidified its significance in economic and industrial terms.
The kimchi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has enormous economic and industrial impacts on other industries as it is connected with various sectors and economic entities in the process, from raw material production and procurement to manufacturing,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ption. In particular, it is an industry that is highly dependent on raw materials to produce products using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orm of raw materials and other agri-food ingredients. While it is closely linked with agriculture, playing the role of a large-scale consumer of major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abbage, radish, pepper, and garlic. Stable procurement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is essential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domestic kimchi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kimchi industry. At the same time, the kimchi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bilizing the supply and demand for primary agricultural products an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To fully accomplish its role as a consumer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the kimchi industry should promote continuous industrial development by solving problems that the kimchi industry faces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creating new demand while responding to changing market conditions and environment.
Research Methodology
We used literature reviews, questionnaires, statistical data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kimchi industry to deriv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kimchi industry. We inspected various data on the kimchi industry for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and policy data. Our surveys questioned 203 kimchi manufacturers, 43 kimchi importers, 513 restaurants, 300 catering facilities, 1,500 domestic consumers, 1,500 Japanese consumers, and 700 Taiwanese consume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kimchi purchases by domestic consumers, restaurants, and food-service facilities. Also, we inspected the reasons influencing kimchi purchases by Taiwanese and Japanese consumers. Through simulation analysis using the KREI-KASMO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orea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we studied the impact of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demand for kimchi products o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the kimchi industry.
As to the overseas market status, we commissioned research to KOTRA's overseas trade office.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eight local markets in four countries: Beijing, Shanghai, and Qingdao in China, Los Angeles and New York in the United States, Tokyo and Osaka in Japan, and Taipei in Taiwan. We asked the Food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of China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kimchi market in China and the production and export of kimchi. Additionally, we commissioned various experts to write manuscripts to examine the kimchi-related cultural and educational projects and R&D statu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Researchers: Hwang Yunjae, Park Kihwan, Park Sihyun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0.
E-mail address: yjhwa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73787
-
좋아요1
-
다운로드69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외국인근로자 활용 정책 방안
- 이전글
- 경축순환농업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