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밀농업 체계 구축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정밀농업의 개념과 주요 정책
제3장 우리나라 정밀농업의 인식과 중요성
제4장 정밀농업의 기술수준과 개발방향
제5장 주요국의 정밀농업 사례와 정책
제6장 정밀농업 체계 구축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농기자재의 대량 투입과 대량 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관행농업은 환경오염과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와 함께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통해 세계적 공통 이슈에 직면해 있다. 또한 세계인구의 증가 가속화에 따른 식량위기는 물론 온난화 등 세계적 기상이변 역시 전 세계가 공통으로 대처해야 할 과제이다. 아울러 최근 우리나라 농업은 농업구조 변화는 물론 빠르게 발전하는 첨단산업과 농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미래농업의 대응 역시 당면한 과제이다.
이 연구는 농업 투입재의 최적투입 및 처방을 핵심으로 하는 정밀농업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고, 최근 첨단산업기술을 접목하여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밀농업 체계 구축 전략과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hanges in the farming environment at home and abroad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precision agriculture. While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rise exponentially, the reduced area for crop cultivation and the drops in yield increase cause concerns about the food shortage in the future. Precision agriculture is a farming method to maximize yields while less contaminat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need for and interest in an eco-friendly manner is increasing. Precision agriculture pursues doing the right treatment at the right times in the right places. Its basic concept was conceived because the requirements for fertilizers, pesticides, and water are different even in the same farmland depending on soil quality and water loss. Therefore, precision agriculture can achieve various outcomes for resolving labor shortage, reducing uncertainties in agricultural produce supply, saving management costs for eco-friendliness, and eliciting economic effects. As a result, it can serve as a promising field that will make a paradigm shift.
○Against this backdrop, it is time to set up a precision agriculture framework connected to state-of-the-art technologies, including ICT. The government should also come up with an agricultural policy to nurture it as a future industry to reduce the environmental footprints, raise the productivity of safe crops, increase farmers’ income, and develop other related industries.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a precision agriculture framework to improve Korean agriculture‘s future competitiveness after exploring its concept and scope. It also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introduce precision agriculture to Korea by inspecting related industries at home and abroad and proposing a direction for progress.
Research Methodology
○We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survey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First of all,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data at home and abroad regarding relevant regulations and systems. We also inspected farm machinery and management systems in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precision agriculture. Our survey targeted 1,589 farmers (KREI correspondents) through email received 761 replies. 120 experts in academia,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were interviewed in a commissioned survey through email.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from 53 respondent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5581
-
좋아요3
-
다운로드99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법인 내실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 이전글
- 농식품산업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