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법인 내실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법인 제도와 지원 정책
제3장 농업법인 현황 및 경영 실태
제4장 농업법인 제도 및 관련 정책 요구
제5장 외국의 농업법인 제도
제6장 농업법인 내실화 방안
요약문
농업법인은 기존 가족농 체제의 한계 극복을 위해 1990년대 제도 도입 이후 각종 정책자금 지원, 세제 감면 등 여러 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육성되어 왔다. 그에 따라 6만여 개가 넘는 농업법인이 설립되는 양적인 성장이 이뤄졌다. 하지만 양적 성장 이면에 부실 법인 문제와 더불어 본래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는 사례가 늘면서 농업법인 제도 내실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농업법인 제도 도입 이후 3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 변천 과정과 현재의 관련 현안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하고, 변화된 농업여건하에서 제도를 내실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 Since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in 1990,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improv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through collaborative and corporate management. As a result, the number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has increased. However, many problems have emerged, such as an increase in insolvent businesses, management of out-of-purpose businesses, and illegal reception of grants.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should endeavor to update regulations and enhance policy support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sustainable progres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the time.
○ This study reviews changes in the agricultural corporation system and support policies and inspects current issues. It also analyzes the state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their management. By inquiring into demands to improve the existing system and policies and exploring other countries’ systems for agricultural corporations, we inte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in response to changes in rural conditions.
Research Methodology
○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views, statistical data analysis, surveys, case studies, and experts‘ advice. We reviewed prior literature to inspect Korea’s system for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support policies and analyzed policy data on other countries’ systems, including France, German, and Japan.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their management, including financial statements, we looked into Statistics Korea‘s various surveys: the Agricultural Corporation Survey (2000-2018), the Census of Agriculture (2000-2015),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 We also used agricultural corporations’ financial statements (2018) collected by Korea Enterprise Data to analyze agricultural corporations‘ efficiency and factors to determine efficiency based on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urrent system’s problem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we surveyed farmers and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studied local agricultural corporation cases. Besides, we depended on advice from related researchers, legal and tax experts, local governments’ officials in charge of agricultural corporations, court registry offices, farm management consultants, and associated organization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89720
-
좋아요1
-
다운로드53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분야 다자성 양자원조의 효과적 추진 방안
- 이전글
-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밀농업 체계 구축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