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6개 국가를 대상으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미얀마
제3장 인도네시아
제4장 필리핀
제5장 라오스
제6장 르완다
제7장 우간다
요약문
최근 국정운영 5개년 계획(2017. 7.), 신북방정책(2017. 9.), 신남방정책(2017. 11.) 등 우리 외교의 다변화, 경제적 교류 확대 등을 지향하는 정책이 수립되었으며, 2020 신북방정책전략(2020. 1. 17.) 등 경제협력의 실질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대외협력 정책은 대부분 개도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개발협력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농림업 분야 ODA 정책과 해외농업자원개발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별 심층적, 전략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협력대상국의 농림업에 대한 가치사슬과 이해관계자 분석 등을 통해 협력 분야와 협력 우선사업을 발굴하고 민관협력과 민간 부문의 해외진출과도 연계한 국제개발협력 정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2018년 1차년도 연구에서 선정된 중점협력국가 중 미얀마, 인도네시아, 필리핀, 라오스, 르완다, 우간다 등 6개국에 대하여 농림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전략적 중점협력 분야를 발굴하며, 중점협력 분야의 가치사슬 또는 주요 이해관계자를 분석하여, 개발협력을 위한 추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government set up policies pursuing diplomatic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exchanges, including the five-year national policy (July 2017), the New Northern Policy (September 2017), and the New Southern Policy (November 2017). Besides, it came up with a strategy to raise practical outcomes from economic cooperation, such as the 2020 New Northern Strategy (January 17, 2020). As the overseas cooperation policies target emerging nations, it i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for development partnership.
○It is also essential to conduct in-depth and strategic research for each country subject to the government’s ODA program and the overseas agri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Accordingly, we need to identify projects with priority for cooperation by analyzing partner nations’ agricultural value chains and stakeholder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artnership program connected to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of six countries selected for the first year (2018) of our two-year study, including Myanmar, Indonesia, the Philippines, Laos, Rwanda, and Uganda. Based on that, it intends to identify partnership areas, analyze value chains and stakeholders in those areas, and suggest action plans for development partnership.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study, we referred to country reports and relevant literature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We also commissioned experts to write on those countries to analyze agricultural value chains (or stakeholders). Besides, each country’s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the agricultural policy, academic specialists, and public organization employees were interviewed for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agricultural value chains and the understanding of on-site demand for development partnership.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ed action plans for partnership areas for each country.
Key Findings
○To set up development partnership strategie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we first explored each country’s agriculture, related policies, and development partnership status. Based on this, we tried to understand each country’s development demand and reviewed areas feasible for partnerships to select focus areas. Our analysis of agricultural value chains or stakeholders guided us to set up mid to long-term targets and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tasks.
○Myanmar has policy demands for improving food security, increasing smallholders’ income, and enhancing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 focus part of agricultural value chains is cooperation for farmers’ capabilities. Therefore, we set up improving food crop productivity, strengthening capabilities of farm households and organizations, and upgrading farm product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ystems as partnership areas with priority.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9946
-
좋아요1
-
다운로드366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3차년도): 미얀마
- 이전글
- 식품산업 변화에 대응한 식품통계의 효율적 구축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