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사회적 경제 조직의 운영 실태와 실천 사례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촌에서 사회적 경제의 의의
제3장 농촌의 사회적 경제 실천 사례
제4장 농촌 사회적 경제 조직의 실태
제5장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 연결망
제6장 농촌의 사회적 금융
제7장 결론
요약문
농촌에서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가 만연하면서 주민은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사회적 경제 실천이 빠르게 확산되는 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2년 동안 추진될 이 연구에서 올해 1년차 연구는, 농촌에서 활동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들의 운영 실태와 그 실천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Because of the overall market and government failures in rural Korea, many people have been socially excluded. In the fight against social exclusion, social economy practices have drawn much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cial economy strategies for inclusive growth and social innovation in rural Korea. This study is a two-year project. In its first year, we research the operation statu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their innovative practices.
Research Method
○We surveyed 504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e interviewed people working i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o explain the conditions of those organizations and their innovative features.
Key Findings
○In many rural communities, the practic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ere, by themselves, collective actions to fight against the reality of social exclusion. In some rural commun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children, who have not been cared for by public care services, residents established ‘care cooperatives.’ In other cases, farmers began to participate in social farming networks. In other communities, residents began to engage in public education by organizing the ‘education cooperative in community.’ For the construction of nested markets where small farm households can sell agricultural products, ‘the local food cooperative movemen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many rural communiti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find the following. First, peopl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tend to start social economy to satisfy their own needs, especially in areas where market and government failures are overlapped. Second, in doing so, the reality of social exclusion is recognized as individuals’ problems as well as the community’s problem. Third,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ctions are related to public agenda. However, public se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s generally do not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ocial economy.
Policy Suggestions
○The Government should encourage the innovative and the experimental practice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at emerge autonomously in rural communities,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And, the government should facilitate networking between various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t the local levels. The rural policy should be linked to the logic of social economy, such as autonomy, cooperation, and solidarity. The governance at the local level and partner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can not be overemphasized.
Researchers: Kim Jeongseop, Kim Meebok, Kim SueLynn, Kim Jeongseung
Research period: 2021. 1. ~ 2021. 10.
E-mail address: jskkjs@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4440
-
좋아요1
-
다운로드43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축사시설 실태조사 분석 연구
- 이전글
- 농업·농촌의 공익증진을 위한 선택형공익직불제 운용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