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1/3차년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부문 일자리 구조 분석 및 대내외 환경 변화
제3장 농업부문 인력 유입 실태와 특징
제4장 농업부문 새로운 일자리 탐색 및 고용 실태
제5장 농업부문 일자리 정책과 당면 현안
제6장 해외의 농업부문 신규 인력 유입 및 새로운 일자리 정책
제7장 농업 일자리 변화 대응 및 확장을 위한 정책과제
요약문
이 연구는 불안과 위기가 일상화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서 농업부문의 일자리를 탐색하고, 대한민국을 포용 사회로 점진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방향에서 농업부문 일자리의 안정적 확장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쳐 진행되는 연구의 1차 연도 연구로서, 신규 인력을 농업부문으로 유입하고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고 기술 변화에 따라 농업부문에 새롭게 생겨나는 일자리의 확대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업 일자리의 변화에 대응하고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 This three-year study aims to sugges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lans to expand agricultural jobs under the innovative and inclusive national policy. Specifically, it prepares plans and strateg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line with the national job policy for the innovative and inclusive state. The first-year research targets new human resource inflow, innovative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ve startup (farming startup) fostering, and job creations customized for young and middle-aged job seeker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attract new human resources, examinations of newly-emerging job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policy tasks required for the changes, to achieve the goals.
Research Methodology
○ We analyzed current issues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papers on newcomers to the agricultural sector (farm owners and workers) and new job opportunities (ICT technology jobs, non-standard employment expansion and responsive measures). We analyzed available statistical data on newcom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new job opportunities. We used the economically-active population survey, the agricultural corporation survey, and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 as our source data. As there were no data on smart digital agricultural jobs and new farming employment, we carried out surveys. In addition, we interviewed new employees in the sector and officials in charge of arranging domestic workers for temporary jobs. To select interview targets, we contacted KREI correspondents. Fifteen of them entered the agricultural sector after 2017. Eight of them were reachable, and four agreed to be interviewed. We analyzed the state of new resource employment and feasibilities of new job opportunities based on various statistical data, surveys, and interviews, to find implications. Also, we requested regional experts to write manuscripts to understand overseas policies for smart digital farming resources, new resource attraction, and countermeasures for non-standard labor. We fou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our examinations of the data.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0365
-
좋아요1
-
다운로드55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 이전글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2/5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