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혁신 성장을 위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1/2차년도)

2022.04.08 38652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950)
  • 저자
    서대석, 김연중; 이정민; 김의준; 조재우
  • 등록일
    2022.04.08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데이터 경제의 개념과 관련산업 및 정책 현황
제3장 농업부문 데이터 활용 현황과 문제점
제4장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의 인식과 중요성
제5장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향
제6장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 방안
제7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미래 산업화와 혁신 성장 동력원으로서 농업부문의 효율적인 데이터 경제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1차년도 연구이다. 농업부문의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활용 및 실용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농산업 부문에 활용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과 정부의 제도적 보완 및 중장기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데이터 기반 농산업 활성화를 위한 R&D 확대 및 후방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의 기반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과 공공부문의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 The global economy is moving toward the data economy, which develops industries and creates values through innovative businesses and services by using data—a core element for innovative growth. Data economy is an economic system where data works as an essential element for production in economic activities. Related industries grow rapidly at 7% or more per year, and data itself is considered as a new asset. Major nations and leading global firms work to arrange related regulations and enhance the labor force. Korea also responds actively through the Digital New Deal Policy, including the pla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There has been a research effort in agriculture to analyze big data and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for data-centered future industries. However, such an endeavor has failed to cover the entire data system. It focuses on state-of-the-art farming equipment and some sectors in agriculture such as greenhouse horticulture and livestock farming. Therefore, the agricultural sector has no good platforms to nurture the data industry and activate full-cycle data. To respond to global economic and industrial changes, Korean agriculture should shift to technological convergence for the 4th industry and digital transfer. It also has to set up various platforms for the data economy. In addition, it needs to use data as an innovative growth engine.

○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establish and invigorate efficient data platforms to drive innovative growth in agriculture down the road. First, it focuses on the digital transfer and draws up plans to apply and commercialize data in the agriculture sector. Based on this effort,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s to set up data economic platforms and use them for the sector. It also advises the government on supplementary regulatory regimes and long-term policy directions. Moreover, this study lays out plans to expand research and development endeavors and foster back-end sectors to boost data-based agricultural businesses. To fulfill its goals, it focuses on digital transfer, platforms, and the public sector’s countermeasures in its first year. The second-year study will explore front-end and back-end industries for the data economy and the private-sector’s responsive measur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서대석Suh, Daeseok
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서대석Suh, Daeseok
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38652
  • 다운로드
    308
다음글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우크라이나
이전글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1/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