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타지키스탄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 및 농업 현황
제3장 농업분야 개발협력 현황 및 수요
제4장 중점 협력 분야
제5장 개발협력 추진 전략
요약문
타지키스탄은 1991년 독립한 뒤 광물자원과 면화, 전력으로 대표되는 국가 수입원, 그리고 해외 이주노동자들로부터의 송금이라고 하는 부수적 수입원을 가진, 매우 협소한 경제적 기반을 가진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이다. 타지키스탄은 우리나라 제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에서 처음으로 중점 협력 국가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타지키스탄의 농업·농촌 현황을 분석하고 국가의 개발전략과 농업분야 관련 전략 등 타지키스탄의 개발 방향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타지키스탄에 대한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개발협력 전략을 수립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public of Tajikistan i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Central Asia. Since its independence in 1991, major sources of national revenue are minerals, cotton, and electricity in the public sector, and transfer income from migrant laborers mostly working in Russia in the private sector.
○The Korean government selected it as a prioritized country in implement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hrough the Third Basic Plan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ituation of the agriculture and rural sectors of Tajikistan as well as its current national and agricultural sector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ies in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 with Tajikistan.
Research Methodology
○We reviewed various literature, statistics, and databases related to development cooperation for our research. Amid travel restrictions due to the COVID-19, we commissioned on-site research to a local expert (National Agriculture Policy Expert of the Agrarian Reforms Secretariat und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She and her team contributed to our research, by gathering information and writing a manuscript on topics: i) the status of the agriculture and forestry sector and its challenges; ii) the status and problems of land management, agricultural water infrastructure, and the value chains of primary crops; iii) implications and potential areas of cooperation with Korea.
○To calculate the degrees of importance among value chain stages and identify cooperation needs with Korea, we surveyed government officials and experts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for two months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2021. We utilized the responses for frequenc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9916
-
좋아요0
-
다운로드204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통학 여건 개선
- 이전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별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4차년도): 키르기스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