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가구의 농식품 구매 채널 이용실태
제3장 개인의 농식품 구매 채널 이용실태
제4장 농식품 세부 품목별 구매 채널 분석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에 따라 상품의 유통경로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따라 전통적 유통구조에서 중간단계가 생략되거나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가 더해지는 등 새로운 유통 가치사슬 체계가 만들어지고 있다. 농산물 유통도 기존의 오프라인 채널의 성장은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나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대형마트 온라인몰과 같은 온라인 채널의 성장률이 가파르다. 특히, 코로나19는 이러한 온라인 중심의 농식품 유통채널 재편을 가속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농식품 유통채널 재편을 소비자 혹은 소매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기획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현재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과거의 오프라인 유통채널 중심으로 생성되고 있어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는 농식품 유통채널의 변화를 반영하는 데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측면에서 농식품 온라인 유통채널에 대한 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agri-food marketing channel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bstacles, and future prospects. Specifically, we generate basic data on the usage and satisfaction of agri-food marketing channels and online platform service. Through the analysis of individual shopping data, we also investiage the change in the use of marketing channels over time and the difference of marketing channel usage between agri-food and other products. Finall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use of marketing channels, the use of maketing channels by agricultural product items is analyzed.
Research Method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households' use of agri-food marketing channels, difficulties, and future prospects. In addition, the change in agri-food marketing channels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Insight Shopping Planning Survey’ raw data and the ‘2021 Agri-food Consumption Information Analysis Project’ raw data. Finally, the determinants of agri-food marketing channel usag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econometric methodology.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1326
-
좋아요0
-
다운로드1152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과 과제
- 이전글
- 농어촌 영향평가: 농어촌 통학 여건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