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인구감소 농촌 지역의 기초생활서비스 확충 방안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및 관련 정책 검토
제3장 농촌 지역 인구감소 현황과 기초생활서비스·시설 변화
제4장 농촌 기초생활서비스 운영 사례
제5장 농촌 지역 기초생활서비스 확충 방안
요약문
농촌의 총인구는 증가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가 감소하면서, 농촌 내 지역 간 격차가 커지고 있다. 일부 원격 지역과 면 지역은 고령화와 인구 유출이 다른 지역보다 더욱 심각하여 지역의 공동체 유지가 어렵고, 나아가 인구·산업 측면에서 생활 공간으로서의 지속가능성까지 위기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국민들이 국토 어디에서 살든지 필요한 서비스를 큰 불편 없이 누리면서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그런데 인구가 감소하는 농촌 지역에서는 주민의 경제활동 저하와 구매력 감소가 교육, 의료, 교통, 소매업 등 생활하는 데 필요한 기초생활서비스의 수요를 감소시키고, 서비스의 양적·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농촌 마을에서 늘어나는 노후화된 빈집은 마을의 경관을 훼손할 뿐 아니라 주민의 안전까지 위협한다. 이에 따라 더 나은 생활서비스와 주거 환경을 원하는 주민들이 도시로 이동하고, 농촌은 다시 인구가 줄어드는 부정적인 순환 고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의 기초생활서비스 확충 방안이 필요하다. 총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인구감소 시대’에, 인구 문제는 극복의 대상이기보다 적응해야 할 삶의 조건이다. 인구감소 사회에 대한 적응은 최소한의 기초생활서비스 확충과 지속적인 운영 방안을 준비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설·서비스는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구가 감소하는 농촌 지역 주민들의 기초생활서비스 이용 현황과 인구감소에 따른 기초생활시설 변화 실태, 농촌에서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기초생활서비스의 확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통계청 인구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010~2020년 농촌의 읍·면 단위 인구 변화를 분석하고, 인구감소 지역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후 인구감소 농촌 주민의 기초생활서비스 이용 실태와 신규 수요를 전문 조사 기관을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지방행정 인허가 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기초생활시설의 분포와 인구감소에 따른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 면 지역에서 시설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인구 규모를 도출하였다. 또, 농촌 면 지역에서 생활서비스를 운영·제공하는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에서 기초생활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서비스 공급 주체로서 공공의 역할 확대와 주민 조직화 방안, 정부와 민간의 협력 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Background of Research
Although the rural population has grown slightly for the past 10 years, the population increase has been concentrated in the capital area, the suburbs, and eups (towns), while the population has been stagnant or decreased in myeons (townships) that account for most of rural Korea. The population decline reduces residents’ economic activities and purchasing power, which decreases the demand for basic living services, that is, services necessary for living including education, health care, transportation, and retail trade and lower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services. Particularly, population aging and outflows are more serious in remote and myeon area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local communities and leads to the possibility of local extinction, i.e. the unsustainability of the provinces as living space in demographic and industrial aspects.
Now is the time to prepare for “adaptation” to the depopulated r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problem of rural depopulation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identify and manage facilities and servi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rural residents’ lives. The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expand facilitie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 that has changed in this era of depopulation, not just considering a fragmentary reduction in living services and facilities or the supply of them through financial support. For this, it is needed to figure out changes in the supply of basic living services and facilities due to population change in each area and devise measures to expand long-term services that respond to residents’ demands and to the expected population chang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8943
-
좋아요5
-
다운로드1749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
- 이전글
- 식량 공급체계 개선 및 자급목표 설정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