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순환경제와 농식품산업의 역할
제3장 농식품 업사이클링 시장 및 정책 동향
제4장 업사이클 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가치 분석
제5장 업사이클 식품 관련 법률 및 제도 쟁점 분석
제6장 업사이클 식품 활성화 전략
요약문
국제연합은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에서 2030년까지 1인당 식품 폐기물을 절반으로 줄이는 목표를 설정하였고, 많은 국가에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음식물쓰레기 문제에 잘 대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후적 재활용 중심으로 정책이 이루어져 폐기물 발생 예방 중심의 업사이클링과 같은 사전적 정책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순환경제 실천을 위한 농식품 업사이클링의 의미를 확인하고, 특히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는 업사이클 식품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 연구는 업사이클 식품 분야가 국내에서 안착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점을 도출하고, 소비자와 생산자 관점에서 해당 시장이 활성화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순환경제 달성이라는 업사이클링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경적 관점에서의 기여도를 확인하고 성과를 얻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Traditional economic activities are based on a linear economic model of resource extraction-production-consumption-disposal, but this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resource depletio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For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many countries are promoting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economy system and expanding waste upcycling. In Korea’s agri-food sector, upcycling has not yet been activated, still focusing on recycling centered on feed and compost production. As the production of upcycled food using agri-food by-products is mentioned as a way to reduce greenhouse gases, maintain food security, and simultaneously serve as a future growth engine in the food industry, active promotion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es needed to revitalize the upcycled food market.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989
-
좋아요1
-
다운로드111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이상림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분야 순환경제 이행 지표 및 환경적 효과 평가 방안 연구
주문솔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 이전글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