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참외 주산지와 도매시장 가격의 동태적 인과성 분석

목차
1. 서론
2. 이용자료와 분석방법
3. 산지와 도매시장 가격의 인과관계 분석
4. 산지와 도매시장 가격의 영향력 분석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논문은 성주참외를 대상으로 성주지역 산지가격과 가락동 도매시장 가격 간의 장단기 균형 관계 및 인과 관계, 두 시장 간의 가격영향관계를 시계열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시장가격 사이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여 두 시장가격이 밀접한 인과관계를 보이는 통합된 시장이며, 외부충격으로 균형상태에서 이탈하였을 때 균형상태로 조정되는 속도는 산지시장이 도매시장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태적 인과 관계 역시 산지가격이 도매가격을 선도하고 있으며, 분산분해분석을 통해 산지가격이 도매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규모화에 의한 연중 출하체제의 확립, 유통시설 정립과 같은 산지의 효율적인 시장대응은 소비지 시장가격이 일방적으로 산지가격에 영향을 주는 관계를 산지가격이 소비지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변화시켰다.
일반적으로 소비지 시장의 농산물 유통에 관련된 경제 주체들은 가격 변동으로 발생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높고 경직된 가격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산지시장과 소비지시장의 가격이 연동하지 않게 되어 두 시장의 가격차가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성주참외 산지가격이 소비지 시장을 대표하는 가락동 도매시장의 가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산지가격이 소비지의 가격 형성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생산자의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산지시장 가격과 소비지시장 가격의 균형관계를 장?단기에 걸쳐 분석하여 참외의 산지가격이 도매가격을 선도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그 원인을 정리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비자 판매가격의 연속된 시계열 자료를 확보하지 못하여 산지가격의 변동이 소비자가격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Seongju is the largest oriental melon producing district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ice causality and short- and long-term equilibrium between the Seongju farmgate market and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in Seoul using Johansen cointegration test and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vector error correlation model) for oriental melon.
The two market prices have each unit root and a strong cointegration relationship. The prices confirmed that the farmgate price might quickly recover from an external shock and its price stability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wholesale price. Also, the dynamic causality relationship analysis shows that the farmgate price strongly leads the wholesale price at the lag intervals of 5, 7 and 9 months. And variance decompositions indicate that in the case of the farmgate price, the local market itself has a price influencing power of 81.5 percent while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influences the farmgate price by 18.5%. But in the case of the wholesale price, the wholesale market itself has a price influencing power of 17.1% while the farmgate market influences the wholesale price by 82.9 percent. It seems that the Seongju farmgate pri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sale price.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4056
-
좋아요0
-
다운로드56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시카고상품거래소와 대련상품거래소 옥수수 선물가격 간 정보흐름 분석
- 이전글
- 마늘과 양파에 대한 가격전이의 비대칭성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