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농업유전자원법에 관한 고찰

목차
요약문
인류의 생존과 다양한 수요에 필요한 생물자원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치가 새롭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생물자원은 인간의 개발활동으로 인하여 감소위협에 처해있고, 자원의 확보?보존 및 이용은 국가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농업유전자원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법률제정은 국제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매우 적절한 조치라 할 수 있다. 즉 자원이 부족한 우리의 현실에서 농업유전자원을 안전하게 확보하고 보존?관리 및 이용을 통하여 국가의 경제발전과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으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또한 잘 보존된 자원을 현재세대를 위하여 활용하고 미래세대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안전하게 전해주는 작업 또한 매우 중요하다.
1992년의 생물다양성협약과 2001년의 식량농업식물유전자원에 대한 국제조약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그 구성요소를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며 그 이용의 결과 발생하는 이익을 공정하고 형평하게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취지를 반영하고 있는 농업유전자원의 보존?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정은 국제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농업유전자원법은 농업유전자원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국가자산으로서 안전하게 관리?보존 및 이용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원의 확보?수집?목록화?평가?등급화?분양승인?국외반출제한?정보화 등에 관한을 규정을 두고 있다. 또한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하여 농업유전자원심의위원회, 농업유전자원책임기관 및 농업유전자원관리기관 등의 관련기관의 지정 및 운영 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농업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동 법률이 가지고 있는 일부 문제점 즉, 농업유전자원의 범위에서 해양수산자원이 제외된 것, 농부의 권리와 전통지식의 보호에 관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는 것은 아쉬운 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법률의 목적과 취지를 감안하여 법률개정 시에 반영하여 보완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Biological diversity is important for the needs of human being. International community endeavors to protect biological resources. In 2007, Korea enacted “the Protection of Law on the Plant Genetic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hereinafter “the Law”).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main contents of the Law: historical background; objectives; use of terms; general obligations of the government; scope of the Law;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se, access and us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ystem, facilitation for diversity and use, measures to threats; consultatory committee, central and sub-institutions. This article also noted that the Law has some problems, so I suggest that such problems shall improve by the amending of the Law.
(This study was supported by 2007 Post Doctoral Course Program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3140
-
좋아요0
-
다운로드10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최근 중국의 농촌경제와 향진기업의 동향
- 이전글
-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