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최근 중국의 농촌경제와 향진기업의 동향

목차
1. 머리말
2. 최근 중국 농촌경제의 현황과 삼농문제
3. 향진기업의 최근 성장 추이
4. 맺는 말
요약문
최근 중국은 WTO 가입, 공산당과 정부의 지도부 교체 등 대내외적인 경제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다. 중국경제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면서 21세기에도 고도성장을 지속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는 세계경제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이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관건은 계층간, 지역간, 도농간 격차를 의미하는 이른바 ‘삼대격차’라는 심각한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이다. 특히 이 가운데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바로 도농간 격차인데, 그 이유는 도농간 격차가 지역간?계층간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촌?농업?농민의 삼농문제 해결은 중국경제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데 가장 중요한 관건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2002년 공산당 16대는 장쩌민 총서기의 재임기간 전체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 함께 2020년까지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를 건설할 계획임을 밝혔다. 연평균 8% 수준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한 고용창출을 최우선순위에 두고, 이를 위해 각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초기부터 향진기업은 중국경제의 성장을 선도해 왔다. 특히 향진기업의 성장은 중국이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체제 전환에 따른 부작용을 비교적 최소화하면서 시장경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후 사영기업?외자기업 등의 성장은 향진기업의 역할을 축소시켰고 1990년대 후반에 이르면 거의 무시할 만한 수준으로까지 평가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향진기업은 새로운 성장기를 맞으면서 농촌경제의 핵심부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최근 수년간 향진기업이 달성한 여러 성과지표들에서 객관적으로 나타난다. 중국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새로운 성장동력의 중심에 바로 향진기업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사실상 향진기업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실종되다시피 한 상태이다. 이는 많은 연구자들이 1990년대 후반 향진기업의 하락만을 보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국내의 향진기업 및 중국 농촌경제에 대한 연구가 다시 활발해지기를 기대하며, 아울러 국내의 농업경제학과 농촌경제학 연구자들께서도 중국농촌의 실태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After the declaration of ecomic reform in 1978, the Township agriculture, countryside & farmers). But, it may sound paradoxical, because of very the raeson, the essential clue for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can be and should be find in TVEs. Recently, the TVEs are recording new growth. TVEs became more profitable, large-sized, employment-created and internationalized. Therefore, we Korean researchers and firms should give more attention on and accurately understand on the recent growth and the new status of the TVE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0263
-
좋아요0
-
다운로드11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한반도의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발전 방향과 과제
- 이전글
- 농업유전자원법에 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