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농촌체험관광이 농특산물 구매 및 직거래에 미치는 영향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및 설계
4. 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농촌 어메니티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자원 평가와 농촌관광의 선호도 등에 초점을 두어 분석되었으며, 체험관광의 주체인 마을 주민들의 농특산물 판매 및 방문객들의 재구매와 직거래 의도 측면에서 연구된 바는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농촌체험을 주관하는 마을의 소득원인 농특산물 판매와 민박·음식물 판매 등을 통한 농가수입의 증가 없이는 체험관광의 주체인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농촌을 찾는 도시민에게는 만족을, 공급자인 농가에는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농촌체험활동의 여러 요소들에 대한 관광객들의 만족도와 지역 농특산물 안전성에 대한 평가 그리고 관광객들의 인구통계적인 요소들이 실제 구매(의도)와 직거래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세부질문 항목들을 ‘농촌환경’, ‘농촌이미지’, ‘편의시설’의 하드웨어적 요인과 ‘체험프로그램’, ‘주민서비스’, ‘농·특산물의 특성’의 소프트웨어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여섯 개 요인에 대한 관광객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만점 리커트척도 기준으로 4,07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프트웨어 요인 만족도가 4.16으로 하드웨어 요인에 대한 만족도 3.99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농특산물의 평균적인 안전성 평가는 4.15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특산물의 구입처가 어디냐는 질문에 대해, 방문객들은 개별농가에서의 구입이 가장 안전한 구매처라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체험활동을 통하여 농특산물을 구매했거나 혹은 구매할 의도에 대해서는 평균 4.05로 나타났으며, 직거래의도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3.99로 나타났다. 이번 방문 시 구매하지 않았거나 직거래의도가 없었다면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품목의 한정성, 차별화 실패, 주문의 번거로움 등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거래를 지속하게 된다면,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개별농가 혹은 체험마을 특산품 코너와 거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거래 방식은 농촌 직접 재방문과 전화, 인터넷 그리고 팩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거래 시 택배비 정도를 추가로 부담할 의도가 있음이 나타났다.
농촌체험에서 관광객들의 실제 구매 혹은 구매의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 주민서비스, 농·특산물에 대한 만족도, 안전성에 대한 평가 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주민서비스와 농·특산물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지역 농·특산물 안전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 할수록 구매 혹은 구매의도의 확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한편 농촌환경, 농촌이미지, 편의시설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변수들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농촌체험에서 하드웨어적인 측면은 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는 기여를 하지만, 이것이 곧바로 지역 농특산물의 구매 혹은 구매의도로까지 이어지지는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지역 농특산물의 판매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를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직거래의도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 직거래 의도에 있어서도 구매(의도)와 같이 연령이 높은 층에서 산지와의 직거래의도가 높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원하고 있으며, 농촌체험에서 주민서비스와 농촌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직거래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농사경험이 있는 경우 직거래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농촌체험관광사업의 주체인 농가의 농특산물 판매 확대를 위해서는 농촌환경, 농촌이미지, 편의시설 등의 하드웨어적인 측면보다는, 소프트웨어적인 측면 중 주민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농특산물 품질과 차별화에 신경을 쓰며 연령이 높은 층을 대상으로 체험관광객을 유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농특산물을 주로 개별농가와 마을의 상설 특산품코너를 통해 판매하고, 품목의 다양화, 제품 차별화, 이미지 차별화가 필요하며, 주문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한편 다음과 같은 면에서 본 연구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바, 향후에 이러한 점에 대해서 보완된 혹은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설문조사가 체험관광의 비성수기인 동절기에 이루어져 체험 프로그램의 제한성, 농특산물 품목의 한정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향후에는 이러한 연구가 계절별로 이루어져 상호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를 비롯하여 기존연구에서는 체험관광마을 현지에서 직접 조사되어 방문객들의 만족도가 과도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관광 전 기대치와 체험관광 직후의 만족도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지각된 성과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측정되어 비교·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or not the participants of farm experience program are satisfied with regarding various factors of the program and safety of local agricultural/special products, and it also assesses the influence of their satisfaction and demographical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nd direct transaction intention.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survey toward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hardware factors such as ‘farm environment,’ ‘farm image,’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software factors such as ‘experience program,’ ‘residents’ service,’ and ‘quality of local agricultural/special products.’ Regarding the six factors, the average satisfaction rate of the respondents is 4.07 out of 5 Likert scale, and the average safety rate on the local agro-specialty products is 4.15.
The average purchased or purchasing intention rate is 4.05 and for direct transaction intension, 3.99. Most respondents prefer direct transaction with individual farmer or village’s specialty corner. For main methods of the direct transaction, ‘revisit to farm,’ ‘telephone,’ and ‘Internet and fax’ are preferred, and it is shown that they have willingness to pay the shipping cost of the product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ir demographical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and direct transaction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specialty show that purchase (intention) rate becomes higher as age is higher and satisfaction rate on the quality of residents’ services and the quality and safety of agro-products and specialty is higher. Also, direct transaction intention is stronger if they are an older group and women and if they consider residents’ services and rural environment more positively. However, for those respondents who have cultivation experiences, the intention is lowe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7815
-
좋아요0
-
다운로드81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미국농업연구체계의 발전: 공공부문의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 이전글
- 원예작물의 로열티 추정과 품종개발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