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식품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가공식품 지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군집분석과 매칭기법을 이용하여

2014.09.21 894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박미성, 안병일
  • 등록일
    2014.09.21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식품소비 라이프스타일 유형 분석
5. 가공식품 지출액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6.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1회 가공 식품 지출액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요인 분석과 군집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편의 추구형, 선도/수용형, 가정식 선호형, 브랜드 추구형, 웰빙형 5개 유형으로 소비자를 구분하였다.
5개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공 식품 지출액의 효과 분석시 선택적 편의와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비모수방법인 매칭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식 선호형은 타 군집에 비해 4,006~4,933원 낮은 반면, 편의 추구형은 3,053~4,195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소비성향과 구매행태가 일치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1회 가공 식품 지출액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과, 내생성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기존연구보다 엄밀한 분석방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s of food consumption lifestyle on the expenditure for the processed food. By factor and cluster analyses, food consumption lifestyles ar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convenience-pursuing, new product-pursuing, homemade food-pursuing, brand-pursuing and wellbeing-pursuing are those identified lifestyles. In assessing the influence of lifestyle on food expenditure, we employ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in order to control the selection bias and endogeneity problem. The results of PSM analysis indicate that the expenditure on processed food of the consumers pursuing homemade food is 4,006~4,933 won low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consumers per visit of shopping. The expenditure on processed food of the consumers pursuing convenience is estimated to be 3,053~4,195 won high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consumers.

저자정보
박미성Park, Misung
연구위원
소속: 식량경제연구본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박미성Park, Misung
연구위원
소속: 식량경제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8946
  • 다운로드
    85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개발과 계측
이전글
쇠고기 등급별 소비자 선호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