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개발과 계측

2014.09.21 9082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이계임, 반현정; 박기환; 황윤재
  • 등록일
    2014.09.21
목차

1. 서론
2.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관련 유사지표 검토
3.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산출방식 개발
4. 농식품 소비역량지수 계측
5. 결론

요약문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역량지수와 소비자시장성과지수의 산출방식을 종합하여 ‘농식품 소비역량지수’를 개발하고, 소비자설문조사를 통해 농식품 전체와 분야별 소비역량지수를 계측하고자 하였다.

농식품 소비는 농식품에 대한 선택, 소비, 섭취, 영양 및 건강까지 일련의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농식품 소비역량지수의 내용요소를 일차적으로 농식품 소비단계에 따라 소비자의 농식품 구매역량, 식생활역량, 피해구제역량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적인 농식품 소비역량수준 10점으로 할 경우 부문별로 농식품 구매역량지수는 6.4∼6.6점, 식생활역량지수는 7.3점, 피해구제역량지수는 5.0점 수준으로 계측되었다. 대안별 농식품 소비단계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농식품 소비자역량지수를 산출한 결과 6.2∼6.5점 수준으로 추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grifood Consumption Competency Index’ with the reference of the ‘Consumer Competency Index’ & ‘Consumer Market Performance Indicator’ calculation methodology then measure the ‘Agrifood Consumption Competency Index’ by a consumer survey.
Agrifood consumption goes through a series of steps starting from the selection of the product, purchase, eating and leading to nutrition ingestion. Accordingly, the ‘Agrifood Consumption Competency Index’ is classified into the ‘Agrifood Purchase Competency Index’, ‘Eating Habit Competency Index’ and ‘Agrifood Damage Relief Competency Index’.
The result came out each for the ‘Agrifood Purchase Competency Index’ from 6.4 points to 6.6 points, the ‘Eating Habit Competency Index’ 7.3 points and the ‘Agrifood Damage Relief Competency Index’ 5.0 points of ideal condition total 10 points. By combining the weight of each classification, the total result ranged from 6.2 points to 6.5 points.

저자정보
이계임Lee, Kyeiim
명예선임연구위원
소속: 식품원예경제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이계임Lee, Kyeiim
명예선임연구위원
소속: 식품원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9082
  • 다운로드
    4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젠더 관점에서 본 귀농·귀촌 여성의 정착 과정과 그 특성
이전글
식품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가공식품 지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군집분석과 매칭기법을 이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