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결정요인 분석

목차
1. 서론
2. 이용한 자료
3. 분석모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에서 모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이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되, 두 변수간의 내생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고자 연립 이변량 순위 프로빗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모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출신국, 한국 거주기간, 한국어 실력, 국내 취업 여부, 배우자의 교육수준 및 취업, 자녀 수, 주택 소유 여부, 거주 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국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다고(또는 낮다고) 인식할수록, 한국 사회경제적 지위도 높다고(또는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국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평가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남성과의 국제결혼을 통해 사회계층의 상향이동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국제결혼으로 인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계층 이동의 한계 및 국가 간 사회계층 불평등 현상의 고착화를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evaluated subjectively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using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2. The study employs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a simultaneous bivariate ordered probit model, in order to resolve the endogeneity of the socioeconomic status in their home country us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in the model. The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e subjective assessments for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Korea life features, the economic activity of their spouse, and family's economic situation etc.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women marriage migrant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in their home county are more likely to under-evaluate their current status, implying that the transboundary movement of inequalities in the social hierarchy occur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7205
-
좋아요0
-
다운로드72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산물 브랜드 시장에서 농산물 공급자소비자 간의 관계만족 요인분석
- 이전글
- 농촌경제 제37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