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Supply Driven Input-Output Analysis: Case of 2010-2011 Foot-and-Mouth Disease in Korea

2015.06.21 7514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만근
  • 등록일
    2015.06.21
목차

I. Introduction
II. Overview of FMD
III. Supply Driven Input-Output Model
IV. Supply Driven Economic Impacts and Implications
V. Concluding Remarks

요약문

본 연구는 공급유도형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2010-2011 구제역 발생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수요변화를 가정한 기본 산업연관분석과 다르게 공급유도형 산업연관분석은 구제역처럼 생산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유용한 분석방법이다. 공급유도형 산업연관분석은 전방, 후방 산업연관효과를 모두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석결과 2010-2011 구제역은 가축도살에 따른 직접효과를 포함 총 7조 6천억원의 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계산되었다. 전방산업효과는 낙농부문과 가축가공 부문에, 후방산업효과는 사료부문과 제조업부문에 크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s of the 2010-2011 Foot-and-Mouth Disease (FMD) outbreaks in Korea using a supply-driven input-output (IO) model. The supply-driven model is better than a standard demand-driven IO model in situations where the event alters sectoral production not the final demand. Obviously, the FMD outbreak is a supply reduction question and the standard IO approach may not completely reflect all the economic impacts. Both backward linkage (upstream sectors) and forward linkage (downstream sectors) effects of the FMD outbreaks are measured. The study shows that backward linkage effects in feed and manufacturing sectors and forward effects in dairy and livestock processing sectors are strong. Total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is estimated to be 7.6 trillion Korean Won which is much larger than the economic impact from the standard final demand-driven IO analysis.

저자정보
김만근Kim, Mankeu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만근Kim, Mankeu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514
  • 다운로드
    19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촌경제 제38권 제2호
이전글
빈곤과 우울감 간의 관계 : 도농비교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