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식품제조업의 시장집중도 분석

2015.09.21 7088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정호연, 강혜정
  • 등록일
    2015.09.21
목차

1. 서론
2. 이용한 자료
3. 변수 및 모형 설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논문은 2007∼2012년 「광업제조업조사」에서 조사한 식품제조업 31개의 세세분류산업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식품제조업의 시장집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식품제조업내 상위기업의 매출액 및 유형자산 규모가 클수록, 이 산업의 진입장벽은 높아져 신규기업의 진입이 어렵고 상위기업들의 시장집중도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광고집중률도 시장집중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업성장률이 높을수록 상위기업의 시장집중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 식품제조업체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국내 식품제조업의 경쟁체계 구축과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uses firm level data to examine the market concentration of Korea’s food processing industry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ratio indices of each detailed industry. Moreover, the fixed effects models are used to investigate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the market concentration indices of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The variables such as minimum efficient size (MES), advertising concentration index, required capital ratio, industry growth ratio, firm entry ratio were selected as the major factors. The results found that the minimum efficient scal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rket concentration of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Also, the required capital ratio and advertising concentration ratio are positively related to market concentration, indicating those factors act as barriers to entry for new businesses.

저자정보
정호연Jeong, Hoyeo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정호연Jeong, Hoyeo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088
  • 다운로드
    6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친환경농업 환경보전적 기능의 경제적 가치평가
이전글
한계고령화율(고령화의 한계기술대체율) 개념을 이용한 농촌지역 경제-복지의보완관계 모색 연구